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미 부통령 "미군 아껴서 배치해야"…주한미군 영향 받나

[앵커]

ADVERTISEMENT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국내외 주둔 중인 미군의 규모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글로벌 전력 현황 검토 결과에 따라 주한미군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보도에 이치동 기자입니다.

[기자]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 취임식에 참석한 J.D. 밴스 부통령.

소중한 자산인 미군을 꼭 필요한 곳에만 보내는 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방침이라고 강조했습니다.

ADVERTISEMENT


"이 나라를 위해 기꺼이 제복을 입고 목숨을 걸고 싸우는 가장 소중한 자원인 장병들을 아껴서 배치해야 합니다.그들을 아무 곳에나 보내서는 안 됩니다."

헤그세스 장관도 취임 일성으로 국내외 배치된 미군의 전력과 임무를 재검토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현지시간 25일)> "펜타곤을 위해 제가 말씀드린 세 가지 원칙은 군인 정신을 회복하고, 군을 재건하고, 억지력을 재확립하는 것입니다."

펜타곤의 '글로벌 방어태세 검토' 결과에 따라 현재 2만8500명가량의 주한미군 규모와 역할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엘브리지 콜비 국방부 정책담당 차관 지명자는 주한미군이 북한보다는 중국 억제에 초점을 둬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현실화할 경우, 먼저 한미 연합훈련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부자 나라인 한국을 지키는 데 미국이 돈을 많이 쓰고 있다고 주장해온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 분담금 인상 압박용으로 주한미군 감축이나 철수 카드를 내밀 수도 있습니다.

유럽 내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 회원국도 긴장하고 있습니다.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 (현지시간 23일)> "지금 정말 위기 상황입니다. 첫째, 돈, 훨씬 더 많은 돈을 신속하게 써야 합니다. (GDP 대비 방위비 지출이) 2%에 미치지 못하는 모든 국가는 앞으로 몇 달 안에 2%를 달성해야 합니다."

다만, 북한, 중국, 러시아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한반도 등 해외 주둔 미군의 규모를 섣불리 줄이기는 어려울 거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 (lcd@yna.co.kr)

#밴스부통령 #헤그세스 #해외전력 #주한미군 #규모조정 #나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