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가 다가오면서, 헌법재판소를 둘러싼 여야 공방이 거칠어지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한국판 엔비디아 지분 공유' 발언에 대한 후폭풍도 이어지고 있는데요.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홍서현 기자.

ADVERTISEMENT


[기자]

네, 국민의힘은 헌법재판소를 향해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재해 감사원장 탄핵 각하를 주장했습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가장 야만적인 정략 탄핵"이라며 "헌재가 할 수 있는 애국을 해주길 바란다"고 헌재를 압박했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상대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최 대행이 즉각 임명 대신 국무위원 의견을 수렴한 데 대해 "국무위원들이 헌법 위의 특수계급이냐"고 비판했습니다.

이재명 대표가 던진 화두, 이른바 '한국판 엔비디아 지분 공유' 발언에 대한 후폭풍도 거셉니다.

앞서 이 대표는 "국부펀드의 투자로 한국에 엔비디아 같은 회사가 생기면 일부 지분을 국민이 나눌 수 있다"고 발언했는데요.

ADVERTISEMENT


국민의힘은 "시장 원리를 철저히 무시한 공상적인 계획경제"라고 비판했습니다.

안철수 의원은 "사기업의 주식을 국가가 강제로 빼앗아 국민에게 나눠주는 건 자유 시장경제에서 있을 수 없다"고 지적했고, 나경원 의원도 "망상의 병환"이라며 가세했습니다.

<나경원 / 국민의힘 의원> "뭐 생기기도 전에 나누자 그러면 생기겠습니까? 그래서 제가 발상의 전환이 아니라 망상의 병환이다, 이렇게 얘기했는데."

이 대표는 여당이 "무지몽매"하다고 맞받았습니다.

첨단산업엔 엄청난 규모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온 국민이 투자하면 그 성과를 나눌 수도 있다"는 겁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미래 첨단산업 분야에 이런 투자를 하면 안 된다, 이런 정말 무지몽매한 생각으로 어떻게 국정을 담당하겠다고 하는 것인지…"

이 대표는 또 "뒤에서 흉보지 말라"며 공개 토론을 제안했는데, 권성동 원내대표도 "주제의 제한 없는 토론은 언제든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이런 가운데 최근 당내 통합을 이어오던 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비명계가 충돌했다고요?

[기자]

네, 이재명 대표가 오늘 한 유튜브 방송에 나와 '체포동의안 가결' 당시를 회고하며 한 말이 발단이 됐습니다.

이 대표는 자신에 대한 국회 체포동의안이 가결된 건 "당내 일부 의원들이 검찰이 짜고 한 짓"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당내 한 유력 인사가 '당 대표를 그만두라'며 정해준 시점이 검찰의 영장 청구 시점과 맞아떨어졌다는 겁니다.

또 체포동의안 가결 당시 찬성표를 던진 의원들에 대해선 "책임을 물어야 그게 민주적 정당"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표는 "총선 과정에서 배제한 사람은 7명뿐이고, 나머지는 당원들이 가려냈다"고도 했습니다.

그러자 비명계 모임 '초일회'는 즉각 입장문을 내고 "아무 근거 없이 동료 의원들이 검찰이나 국민의힘과 내통했다고 한 건 동료에 대한 인격모독이고 심대한 명예훼손"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앞에서 웃고 뒤에서 칼을 꽂는 격이다. 통합 행보는 쇼였냐"며 사과를 요구했습니다.

논란이 커지자 이 대표는 "이미 다 지난 일"이라며 "할 일을 함께 손잡고 해가자"고 진화에 나섰지만, 그간 보여온 통합 행보에 대한 진정성 논란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앵커]

조기 대선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여야 대권 잠룡들의 행보도 활발해지고 있죠?

[기자]

네, 여권에선 두 달 만에 활동을 재개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자신의 신간 북콘서트를 열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한 전 대표는 "87년 체제를 극복해야 할 때가 됐다"며 개헌론을 거듭 띄웠습니다.

마찬가지로 저서 출간을 예고한 오세훈 서울시장은 핀테크 스타트업 간담회 일정을 소화하며 경제 행보를 이어갔습니다.

야권 비명계 주자들도 공개 행보에 나섰는데요.

비명계 박광온 전 원내대표 주도로 열린 심포지엄에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김동연 경기지사가 참석해 개헌을 촉구했습니다.

김 전 총리는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야권 오픈 프라이머리'에 긍정적인 반응을 내놨고, 김 지사는 '5대 빅딜'을 위한 경제 대연정을 제안했습니다.

또 김두관 전 경남지사는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 '어대명' 경선은 막아야 한다"며 이 대표에게 "임기 2년 단축 개헌을 약속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홍서현(hsse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