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악의 산불'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큼 산불이 빠르게 번지면서 피해도 컸습니다.
의성 현장에는 오후 6시를 지나며, 굵은 빗방울이 떨어졌지만 10분 만에 그쳤다고 하는데요.
산불 관련 자세한 상황, 고기연 한국산불학회장 전화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질문 1> 경북 의성에서 굵은 빗방울이 오후 6시쯤 약 10분간 내리다 그쳤다고 합니다. 그야말로 기다리고 기다리던 소식인데, 내리는 양은 충분하지 않았죠?
<질문 2> 산림청 발표에 따르면, 지금까지 강수량이 2mm입니다. 내일 새벽 3시까지는 좀 더 넓은 지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을 하고는 있는데요. 이번 비가 산불에 미칠 영향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1> 내일 새벽까지 비가 내린다 해도, 산불을 끄기엔 역부족일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후 당분간 비 소식이 없어 걱정입니다. 안타까운 마음에 '인공강우'를 이용할 수 없느냐는 의견도 나오는데요. 가능할까요?
<질문 3> 산불 영향구역은 3만 3천㏊를 넘었습니다. 문제는 아직도 불길을 완전히 잡지 못했다는 겁니다. 더 큰 피해가 불가피할 걸로 보이는데요.
<질문 4> 인명피해도 커지고 있습니다. 영덕군에선 산불 진화 현장에 투입됐다가 실종됐던 산불감시원이 숨진 상태로 발견됐습니다. 영양군의 사찰에선 주지 스님이 사찰을 지키다가 숨진 것으로 보여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는데요. 산불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인명피해를 막을 방법이 없을까요?
<질문 5> 불똥이 강한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비화 현상이 산불이 확산되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비화현상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불이 꺼진 후 다시 불씨가 되살아날 수 있어 잔불 정리가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어떤 조치가 가장 필요할까요?
<질문 6>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도 대형 산불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활엽수보다 화재 지속시간이 긴 데다가 더 뜨겁게 타는 소나무의 특성이 화재 진압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산림 정책도 대대적으로 손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
<질문 7> 한편, 경북 지방은 산불이 번지면서 연기와 짙은 연무로 뿌연 모습입니다. 매캐한 연기 때문에 숨을 쉬기 어려울 정도라고 합니다. 인체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 만큼, 지자체가 주민들에게 실외활동 자제, 마스크 착용, 공기청정기 사용 등 안내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도 필요해 보여요?
<질문 8> 산불 진압 작업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잖아요. 현장에 있는 소방대원들의 건강 문제도 면밀히 지켜봐야 할 것 같은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양재영(yj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