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뉴스잇] 산불 갈수록 대형화·상시화…근본적인 대책은

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뉴스사회

[뉴스잇] 산불 갈수록 대형화·상시화…근본적인 대책은

2025-03-31 18:31:54

<출연: 강호상 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원 교수>

경남 산청과 경북 의성 등 영남 지역을 휩쓸었던 역대 최악의 산불이 열흘만인 어제 모두 진화됐습니다.

갈수록 대형화, 상시화하는 산불에 대응체계 전환이 필요한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강호상 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원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어제 열흘 간 이어진 산청 산불의 주불 진화가 약 213시간 만에 완료됐습니다. 전체적으로 이번 산불의 대응, 전체적으로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 주불 진화가 완료되며 산불 관리는 지방자치단체 중심 잔불 진화 체계로 변경된다고 하는데요. 각 시.도와 관계 기관을 중심으로 잔불 진화를 이어간다고 하는데, 혹시 재발화 될 가능성은 없겠습니까?

<질문 3> 산불이 장기화되면서 인명, 재산 피해도 컸습니다. 산불 피해 구역만 1천858㏊로 축구장 2천602개에 달하고요. 주택 3천여동이 전소되고, 국가유산 피해 30건, 농업시설 2천여건 등 시설 피해도 발생했다고 하는데요. 피해규모는 어느정도 수준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4> 무엇보다 피해 복구작업, 생태계 복원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먼저, 이렇게 대형 산불로 폐허가 된 산림 생태계를 복원하려면 얼마의 시간이 소요됩니까?

<질문 5> 입지의 특성에 따라 복원 방법이 결정되어야겠지만, 자연 스스로 복구할 수 있는 시간을 줘야한다, 인공조림사업을 실시해서 복원 작업을 서둘러야한다. 의견이 분분한데 교수님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어떤 방향이 필요하다고 보세요?

<질문 6> 무엇보다, 산불을 계기로 산림 관리 방식을 바꿔야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그동안 산림청은 경제성이 높다는 이유로 곳곳에 소나무를 심고 활엽수 등 다른 나무를 솎아내는 ‘숲 가꾸기 사업’을 진행해 왔는데 이런 사업이 산을 더욱더 메마르게 만들었다는 지적인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1> 실제로 우리나라는 전국 산림 중 침엽수림이 차지하는 비율은 36.9%로 활엽수(31.8%)보다 높다고 하는데요. 침엽수와 활엽수,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질문 6-2> 그래서 일각에서는 이번에 산불이 난 지역은 활엽수로 수종을 변경하는 방안을 찾아야한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필요하다고 보세요?

<질문 7> 더불어 ‘간벌’ 작업도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숲이 지나치게 빽빽하면 산불이 더 빠르게 퍼지는 특징이 있으니 간벌을 하면서 숲의 밀도를 낮춰야한다는 겁니다. 간벌 작업이 산불 진화에는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고 보세요?

<질문 8> 일본은 방화림을 만들어 대형 산불을 예방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방화림이 무엇인지, 우리나라에서도 실현가능한 것인지도 궁금한데요?

<질문 9> 그런데, 산에 만들어진 길인 ‘임도'를 두고는 말들이 많습니다. 산불 차단선 역할을 할 것이다. 아니다 효과 없이 오히려 바람길 역할에 산사태 우려가 클 것이다. 이런 얘기들이 나오는데, 임도 조성 필요하다고 보세요?

<질문 9-1> 이번 경북 산불의 경우, 산불 진화 차량이 임도가 없어 화재 진원지에 접근조차 하지 못해 피해를 한층 키웠다는 지적이 나왔는데요. 임도가 없어 진화대원들이 15㎏에 달하는 등진펌프를 지고 직접 현장까지 걸어 올라갔다고 하고요. 화재 진화에 있어 임도의 역할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까?

<질문 10> 무엇보다 산불이 대형화되고 연중화하고 있는 만큼 산림청이 주도하는 신불 진화 체계 역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어떤 대응 체계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보나(bonaman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