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내년도 의대생 모집 정원을 두고 사회 각계 압박이 커지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의료계는 증원 전 수준 규모로 조기에 확정하라고 요구하는 반면, 시민단체는 반대하고 있는데요.

학교로 돌아왔던 의대생들도 수업 거부 등의 투쟁 의사를 밝히면서 다시 결집하고 있습니다.

김유아 기자입니다.

[기자]

교육부가 내년도 대학별 의대생 모집 정원을 확정해야 하는 시점은 이달 말입니다.

집단 휴학한 의대생들이 수업을 정상적으로 듣는다고 판단되면 내년에는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을 선발하겠다고 밝힌 상황.

ADVERTISEMENT


제적·유급 위기에 몰린 의대생 대부분이 지난달 말 복학·등록 신청을 마친 것으로 확인되자 의료계는 빨리 정원을 확정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만큼, 논의를 새로 시작해야한다는 취지기도 합니다.

<한상원/대한민국의학한림원장> "정부도 탄핵 이후에 입장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의료계의 협상 파트너는 누가 돼야 하는지도 안갯속에 있습니다."

정부는 정치적 국면과는 무관하게 의료 개혁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재천명했습니다.

<박민수/보건복지부 제2차관> "의료개혁 1차 실행방안을 통해 발표한 과제들은 이미 이행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의료개혁 과제를 착실히 추진해 나가겠으며…."

이런 가운데, 학교로 돌아오는 듯했던 의대생들 일부가 "수업 거부로 계속 투쟁하겠다"며 재결집에 나서, 정원 동결 여부도 불투명해지고 있습니다.

증원 수혜를 입고 들어온 신입생인 아주대 25학번의 입장문을 시작으로, 이른바 '빅5' 병원의 의대 중 서울대를 뺀 나머지 4곳과 고려대 의대생들도 줄줄이 동참한 겁니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의대생 복귀가 없다면 동결을 철회하고 증원 기조를 이어 5,058명으로 조속히 확정하라"는 성명을 잇달아 냈는데, 일단 교육부는 이주 후반까지는 수업 참여율을 지켜볼 방침입니다.

'증원 철회'에 어렵게 뜻을 모았던 대학 총장들도 온라인 회의를 열고 의대생 수업 거부 현황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연합뉴스TV 김유아입니다.

[영상취재 윤제환 정우현]

#의대증원 #수업거부 #의료계투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유아(ku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