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새로운 통상환경으로 직면한 수출 위기 대응을 위해 정책자금을 추가로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대미 수출기업을 위한 관세행정 지원도 병행 추진합니다.
김수빈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와 이에 따른 중국의 맞대응 등으로 격화되고 있는 관세전쟁.
정부가 미국발 관세전쟁으로 인한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수출금융을 추가로 지원합니다.
정부는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연 9조원의 수출입은행 정책자금을 추가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을 신설해 중소·중견 기업에 3조원을 공급하고, 금리도 최대 2%p(포인트) 인하해 적용합니다.
수출 대기업뿐 아니라 국내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중견기업에도 자금을 추가로 공급합니다.
또, 수출 대상 지역과 품목 다변화를 위해 1조원을 투입하고, 국내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1조원 규모의 펀드 조성도 상반기 중에 마무리하겠단 방침입니다.
뿐만 아니라 관세 행정 애로에 대해서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관세청은 수출 기업에 수출 물품의 미국 품목번호 등 정보를 신속히 입수해 제공할 계획입니다.
이와 더불어 관세상담센터를 개설하고, 대미 수출품 품목분류에 대한 사전심사인 '패스트트랙'을 도입할 방침입니다.
또한, 우리나라가 제3국의 우회 수출국으로 오인되지 않도록 미국으로 선적하기 전 수출 검사를 강화합니다.
정부는 통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로 관세 피해 분야 점검을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눈앞에 놓인 대미 관세협의의 현안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면서도, 중장기적으로 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수빈입니다.
(영상취재 김동화)
#대외경제장관회의 #정책자금 #수출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수빈(soup@yna.co.kr)
정부가 새로운 통상환경으로 직면한 수출 위기 대응을 위해 정책자금을 추가로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ADVERTISEMENT
뿐만 아니라 대미 수출기업을 위한 관세행정 지원도 병행 추진합니다.
김수빈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와 이에 따른 중국의 맞대응 등으로 격화되고 있는 관세전쟁.
정부가 미국발 관세전쟁으로 인한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수출금융을 추가로 지원합니다.
정부는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연 9조원의 수출입은행 정책자금을 추가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ADVERTISEMENT
먼저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을 신설해 중소·중견 기업에 3조원을 공급하고, 금리도 최대 2%p(포인트) 인하해 적용합니다.
수출 대기업뿐 아니라 국내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중견기업에도 자금을 추가로 공급합니다.
또, 수출 대상 지역과 품목 다변화를 위해 1조원을 투입하고, 국내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1조원 규모의 펀드 조성도 상반기 중에 마무리하겠단 방침입니다.
뿐만 아니라 관세 행정 애로에 대해서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관세청은 수출 기업에 수출 물품의 미국 품목번호 등 정보를 신속히 입수해 제공할 계획입니다.
이와 더불어 관세상담센터를 개설하고, 대미 수출품 품목분류에 대한 사전심사인 '패스트트랙'을 도입할 방침입니다.
또한, 우리나라가 제3국의 우회 수출국으로 오인되지 않도록 미국으로 선적하기 전 수출 검사를 강화합니다.
정부는 통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로 관세 피해 분야 점검을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눈앞에 놓인 대미 관세협의의 현안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면서도, 중장기적으로 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수빈입니다.
(영상취재 김동화)
#대외경제장관회의 #정책자금 #수출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수빈(soup@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