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오늘(11일) 오후 5시 서울 한남동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거처를 옮깁니다.

ADVERTISEMENT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이후 일주일 만인데요.

관저 앞 분위기, 현장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최진경 기자.

[기자]

네,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 나와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제 두 시간쯤 뒤 이곳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향하게 되는데요.

ADVERTISEMENT


이른 아침부터 이삿짐 트럭이 관저 정문 안으로 들어가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낮시간대 접어들면서 윤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은 오전보다 더 많은 규모가 모인 상황인데요.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며 "윤 어게인" 등의 구호를 연호하고 있습니다.

한때 취재진을 향해서도 고성을 지르는 등 퇴거 시간이 가까워질수록 이곳의 긴장감은 더 고조되는 모습이었는데요.

촛불행동 등 반대 측 단체들은 윤 전 대통령 부부에 대한 조속한 퇴거와 신속한 수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습니다.

앞서 일부 지지자와 반대 측이 맞붙기도 했지만, 큰 충돌까지 번지지는 않았습니다.

관저 경비 태세는 여전히 삼엄합니다.

한남초등학교부터 관저 입구 앞으로 이어지는 길목엔 경찰 차벽이 늘어섰고, 경호 인력들도 출입로를 지키고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선고 일주일 만인 오늘(11일) 오후 5시 이곳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돌아가는데요.

서초동 사저는 윤 전 대통령이 취임 초 6개월 가량 출퇴근했던 곳으로, 경호처는 경호 계획 수립과 사전 점검을 마친 상태입니다.

윤 전 대통령의 경호 인력은 전직 대통령들과 비슷하게 50여 명 규모로 꾸려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행 대통령 경호법에 따라 파면이 되더라도 경호와 경비에 관련된 예우는 유지되는데요.

경호처의 경호 기간은 5년으로 줄어들지만, 연장할 수 있어 길게는 10년까지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남동 관저 앞에서 연합뉴스TV 최진경입니다.

[현장연결 홍수호]

#관저 #퇴거 #윤석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진경(highjean@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