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정부가 내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058명으로 확정했습니다.

ADVERTISEMENT


대규모 유급으로 여러 학번이 한꺼번에 수업을 듣는 현상이 벌어지는 등 파행을 막기 위해서인데, 학생들이 돌아올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내년 의대 모집인원이 증원 전 수준인 3천 58명으로 확정됐습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오늘(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조정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 모임 등 관련 단체들이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해 모집인원을 증원 전 규모로 확정해달라고 한 건의를 받아들였습니다.

ADVERTISEMENT


교육부는 당초 지난달 더 이상의 학사유연화는 없다며 의대생들이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할 정도로 돌아와야 내년도 모집인원을 5058명에서 3058명으로 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후 학생들은 제적을 피하려 모두 등록까지는 했지만 수업 거부 방식의 투쟁을 이어가면서 어제(16일) 기준 수업 참여율은 26%에 그쳤습니다.

결국 대규모 유급 사태가 현실화하면서 내년에 24, 25, 26학번까지 세 개 학번이 한꺼번에 수업을 듣게 되는 '트리플링'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커지자 결국 정부가 또 한 번 물러선 모양새입니다.

교육부는 이와 관련해 "의대 교육의 정상화와 의사 양성 시스템이 멈추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올해는 학사 유연화가 없을 것이라고 거듭 못박으며 학생들의 복귀를 다시금 촉구했습니다.

이 부총리는 "이번에도 복귀하지 않는다면 학생들이 원하는 24·25학번의 분리교육이 어려워진다"며 이는 수련과정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교육부는 내년 이후, 그러니까 27학년도부터는 수급추계위원회를 통해 의대 정원을 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번 발표로 학생들이 복귀할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당초 의대생들은 의대 증원 철회와 함께 필수 의료 패키지 정책 철폐를 주장하며 수업을 거부해 왔기 때문입니다.

또 전국 40개 의대 중 32곳은 본과 4학년 유급 시한이 이달 말까지로, 트리플링 현상으로 인한 수업 파행 우려 역시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의대 #증원 #대규모유급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동훈(yigiz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