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연휴가 끝난 오늘(7일)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첫 차부터 다시 준법투쟁에 들어갔습니다.
평소 출근길 대비 큰 혼잡은 빚어지지 않았는데요.
버스 환승센터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상황 알아봅니다.
최진경 기자.
[기자]
네, 서울 여의도 버스환승센터에 나와 있습니다.
제가 출근 시간대 내내 이곳에서 상황을 지켜보고 있었는데요.
버스 배차 간격이 평소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버스가 유달리 많이 밀린다거나 인파가 몰리는 등 큰 혼잡은 벌어지지 않았습니다.
시민들 대부분 평소와 비슷하게 출근길에 나섰는데도 큰 불편은 없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연휴가 끝난 오늘(7일)부터 다시 준법투쟁에 들어갔습니다.
앞서가는 차를 추월하지 않거나 승객 착석 등 안전을 확보한 뒤 출발하는 '준법운행' 방식인데요.
지난달 29일 노사 간 협상이 결렬된 뒤로 양측이 연휴 기간 물밑 협상을 이어갔지만, 진전되지 못한 데 따른 조치입니다.
노사는 통상임금 체제 개편을 두고 의견을 달리하고 있습니다.
노조는 지난해 대법원 판결에 따라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인데요.
반면 사측은 상여금 조항을 폐지하거나 개정하는 임금체계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양측이 별다른 실마리를 찾지 못하면서 노조는 내일(8일)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에서 파업 시기와 방법 등을 논의할 예정으로 그 전까지는 준법운행 방식의 쟁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최 기자, 서울시도 대책을 마련했다고요?
[기자]
네, 서울시는 출근길 혼잡을 줄이기 위한 특별 교통대책을 내놨는데요.
우선 지하철 출근 혼잡시간을 오전 7시에서 10시까지로 1시간 늘려 운영합니다.
또 지하철 1호선부터 8호선까지와 우이신설선의 열차 투입 횟수를 47번 늘릴 예정입니다.
다만 지난주 준법투쟁 때와 달리 자치구 무료 셔틀버스는 따로 운영하지 않는 점 참고하셔야겠습니다.
혹시 모를 버스 밀림 현상을 대비해 주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에 공무원들을 배치하겠다고도 밝혔는데요.
버스가 불필요하게 정류소에 오래 머무는 행위 등이 확인되면 즉시 현장 조치에 나서겠다는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서울 여의도 버스 환승센터에서 연합뉴스TV 최진경입니다.
[현장연결 양재준]
#서울시내버스 #준법투쟁 #출근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진경(highjean@yna.co.kr)
연휴가 끝난 오늘(7일)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첫 차부터 다시 준법투쟁에 들어갔습니다.
ADVERTISEMENT
평소 출근길 대비 큰 혼잡은 빚어지지 않았는데요.
버스 환승센터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상황 알아봅니다.
최진경 기자.
[기자]
네, 서울 여의도 버스환승센터에 나와 있습니다.
제가 출근 시간대 내내 이곳에서 상황을 지켜보고 있었는데요.
ADVERTISEMENT
버스 배차 간격이 평소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버스가 유달리 많이 밀린다거나 인파가 몰리는 등 큰 혼잡은 벌어지지 않았습니다.
시민들 대부분 평소와 비슷하게 출근길에 나섰는데도 큰 불편은 없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연휴가 끝난 오늘(7일)부터 다시 준법투쟁에 들어갔습니다.
앞서가는 차를 추월하지 않거나 승객 착석 등 안전을 확보한 뒤 출발하는 '준법운행' 방식인데요.
지난달 29일 노사 간 협상이 결렬된 뒤로 양측이 연휴 기간 물밑 협상을 이어갔지만, 진전되지 못한 데 따른 조치입니다.
노사는 통상임금 체제 개편을 두고 의견을 달리하고 있습니다.
노조는 지난해 대법원 판결에 따라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인데요.
반면 사측은 상여금 조항을 폐지하거나 개정하는 임금체계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양측이 별다른 실마리를 찾지 못하면서 노조는 내일(8일)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에서 파업 시기와 방법 등을 논의할 예정으로 그 전까지는 준법운행 방식의 쟁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최 기자, 서울시도 대책을 마련했다고요?
[기자]
네, 서울시는 출근길 혼잡을 줄이기 위한 특별 교통대책을 내놨는데요.
우선 지하철 출근 혼잡시간을 오전 7시에서 10시까지로 1시간 늘려 운영합니다.
또 지하철 1호선부터 8호선까지와 우이신설선의 열차 투입 횟수를 47번 늘릴 예정입니다.
다만 지난주 준법투쟁 때와 달리 자치구 무료 셔틀버스는 따로 운영하지 않는 점 참고하셔야겠습니다.
혹시 모를 버스 밀림 현상을 대비해 주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에 공무원들을 배치하겠다고도 밝혔는데요.
버스가 불필요하게 정류소에 오래 머무는 행위 등이 확인되면 즉시 현장 조치에 나서겠다는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서울 여의도 버스 환승센터에서 연합뉴스TV 최진경입니다.
[현장연결 양재준]
#서울시내버스 #준법투쟁 #출근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진경(highjean@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