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남 창원에선 시내버스 파업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버스 이용객이 몰리는 출근시간대에 특히 불편 민원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현장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하준 기자.
[기자]
네, 저는 지금 경남 창원시 성산구의 한 버스정류장에 나와있습니다.
출근버스를 기다리는 시민들을 볼 수 있는데요.
시내버스 파업 이틀째에 접어든 가운데 불편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곳 창원에선 어제 첫차부터 시내버스의 95%가 운행을 멈췄습니다.
노사 양측이 통상임금과 임금협상의 분리 여부, 정년 연장 등을 두고 합의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인데요.
파업이 예견되긴 했지만 확정 여부가 시민들에게 공식적으로 알려진 건 어제 새벽시간대였는데요.
그렇다보니 출근길에 나선 이후에 파업 소식을 접한 분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시내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창원시가 전세버스와 임차택시 등 대체 수단을 긴급 투입했지만 기존의 42% 수준에 그치는 실정입니다.
또, 대체 수단의 노선과 이용에 대한 안내가 충분치 않았던 탓에 크고 작은 민원이 다수 발생하고 있습니다.
한편, 노사 양측은 쟁점사항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 다시 조정을 신청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시내버스 파업으로 인한 시민 불편이 가중되는 가운데 혹시모를 파업 장기화에 대한 불안감도 덩달아 커지는 분위깁니다.
지금까지 경남 창원에서 연합뉴스TV 하준입니다.
[현장연결 김완기]
#창원 #시내버스 #파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하준(hajun@yna.co.kr)
경남 창원에선 시내버스 파업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버스 이용객이 몰리는 출근시간대에 특히 불편 민원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현장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하준 기자.
ADVERTISEMENT
[기자]
네, 저는 지금 경남 창원시 성산구의 한 버스정류장에 나와있습니다.
출근버스를 기다리는 시민들을 볼 수 있는데요.
시내버스 파업 이틀째에 접어든 가운데 불편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곳 창원에선 어제 첫차부터 시내버스의 95%가 운행을 멈췄습니다.
노사 양측이 통상임금과 임금협상의 분리 여부, 정년 연장 등을 두고 합의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인데요.
파업이 예견되긴 했지만 확정 여부가 시민들에게 공식적으로 알려진 건 어제 새벽시간대였는데요.
ADVERTISEMENT
그렇다보니 출근길에 나선 이후에 파업 소식을 접한 분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시내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창원시가 전세버스와 임차택시 등 대체 수단을 긴급 투입했지만 기존의 42% 수준에 그치는 실정입니다.
또, 대체 수단의 노선과 이용에 대한 안내가 충분치 않았던 탓에 크고 작은 민원이 다수 발생하고 있습니다.
한편, 노사 양측은 쟁점사항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 다시 조정을 신청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시내버스 파업으로 인한 시민 불편이 가중되는 가운데 혹시모를 파업 장기화에 대한 불안감도 덩달아 커지는 분위깁니다.
지금까지 경남 창원에서 연합뉴스TV 하준입니다.
[현장연결 김완기]
#창원 #시내버스 #파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하준(hajun@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