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21대 대선이 이제 사흘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선거 기간 마지막 주말인 오늘, 대선 후보들이 막판 지지 호소에 한창인데요.
먼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유세 현장부터 가보겠습니다.
홍서현 기자, 현장 분위기 어떻습니까?
[기자]
네, 저는 충북 청주시 유세 현장에 나와있습니다.
아직 이재명 후보 유세 시작까지는 20분 정도 남았는데요.
벌써부터 많은 지지자들이 모여 이 후보가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곳 충청은 역대 선거에서 승패를 좌우했던 '캐스팅 보터' 지역입니다.
지난 대선에서 이 후보가 득표율에서 패한 곳이기도 한데요.
선거를 코앞에 둔 시점인 만큼 중도, 부동층 표심을 잡는 데 주력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후보는 오늘도 내란 종식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내란 세력들이 귀환을 꿈꾸고 있다"며, 다시 귀환하지 않게 해야 하는 게 이번 대선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김문수 후보에게 내란수괴와 단절하겠냐는 질문을 공식적으로 2번이나 했지만 아직도 답을 하지 않고 있다"며 비판을 이어갔습니다.
이 후보는 오늘(31일) 세종시와 대전시에서 남은 유세를 이어간 뒤, 내일(1일)은 험지인 영남권을 찾을 계획입니다.
[앵커]
이 후보가 오늘(31일) 발표한 공약 내용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이 후보는 "K-배터리로 대한민국 경제를 재충전하겠다"며 관련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충청과 영남, 호남을 잇는 '배터리 삼각벨트'를 조성하고 전력 등 인프라를 지원하겠다는 겁니다.
또 이 후보는 현대건설의 컨소시엄 탈퇴로 사실상 올스톱된 가덕도 신공항 사업에 대해 "민주당이 시작한 사업을 민주당이 책임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 후보는 오늘(31일) 라디오에 출연해 추경에 대한 의지도 재확인했습니다.
전 국민 민생지원금 사업에 대해선 내수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이라며 "재정 상황을 봐가며 규모나 방식, 대상을 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충북 청주시 유세 현장에서 연합뉴스TV 홍서현입니다.
[ 앵커 ]
이번엔 국민의힘 선거운동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김문수 후보는 오늘 강원 동해안을 따라 집중 유세를 벌이고 있습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수강 기자!
[ 기자 ]
네, 저는 지금 강원 동해시에 나와 있습니다.
김문수 후보는 잠시 뒤 이곳에 도착할 예정인데요.
벌써부터 지지자들이 모여 후보 이름을 연호하며 분위기가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김 후보는 오늘 오전 홍천을 시작으로 속초, 강릉을 거쳐 동해안 지역을 누비고 있습니다.
모두 국민의힘 지지세가 강한 지역들인데, 선거 전 마지막 주말인 만큼 텃밭 다지기에 주력하는 모습입니다.
김 후보는 오늘도 첫 유세 장소에서부터 '아내가 자랑스럽다'고 적힌 티셔츠를 입고 나타났습니다.
자신의 배우자인 설난영 여사의 학력 등을 비하했다가 논란이 일자 사과에 나선 유시민 작가를 겨냥한겁니다.
이어 "김대중 전 대통령은 목포상고 출신이고, 노무현 전 대통령도 부산상고 출신"이라며 학력 차별 없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오만한 엘리트주의", "가짜 진보적 속성", "진보 진영의 선민의식"이라며 유 작가 발언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습니다.
김 후보는 "가족이 화목해야 만사가 잘된다"며 이재명 후보 가족을 겨냥한 공세도 이어갔습니다.
[ 앵커 ]
김 후보는 오늘 포항에서 일정을 마무리하네요?
[기자]
네, 김 후보는 이곳에서 강원도 일정을 마무리한 이후엔 경북으로 넘어갑니다.
오늘 마지막 일정으로는 포항에 마련된 해군 초계기 사고 순직 장병 합동분향소를 찾아 조문할 예정입니다.
내일은 김 후보가 경기도지사 시절 개발을 추진한 수원 광교신도시에서 출발해 수도권 표심을 공략합니다.
또 모레 마지막 유세는 제주도에서 시작해 서울까지 누빈다는 계획입니다.
김 후보는 어제부터 ‘외박 유세’를 내세워 90시간 동안 전국을 도는 강행군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강원 동해시에서 연합뉴스TV 김수강입니다.
[현장연결 홍수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홍서현(hsseo@yna.co.kr)
김수강(kimsookang@yna.co.kr)
21대 대선이 이제 사흘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ADVERTISEMENT
선거 기간 마지막 주말인 오늘, 대선 후보들이 막판 지지 호소에 한창인데요.
먼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유세 현장부터 가보겠습니다.
홍서현 기자, 현장 분위기 어떻습니까?
ADVERTISEMENT
[기자]
네, 저는 충북 청주시 유세 현장에 나와있습니다.
아직 이재명 후보 유세 시작까지는 20분 정도 남았는데요.
벌써부터 많은 지지자들이 모여 이 후보가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곳 충청은 역대 선거에서 승패를 좌우했던 '캐스팅 보터' 지역입니다.
지난 대선에서 이 후보가 득표율에서 패한 곳이기도 한데요.
선거를 코앞에 둔 시점인 만큼 중도, 부동층 표심을 잡는 데 주력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ADVERTISEMENT
이 후보는 오늘도 내란 종식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내란 세력들이 귀환을 꿈꾸고 있다"며, 다시 귀환하지 않게 해야 하는 게 이번 대선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김문수 후보에게 내란수괴와 단절하겠냐는 질문을 공식적으로 2번이나 했지만 아직도 답을 하지 않고 있다"며 비판을 이어갔습니다.
이 후보는 오늘(31일) 세종시와 대전시에서 남은 유세를 이어간 뒤, 내일(1일)은 험지인 영남권을 찾을 계획입니다.
[앵커]
이 후보가 오늘(31일) 발표한 공약 내용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이 후보는 "K-배터리로 대한민국 경제를 재충전하겠다"며 관련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충청과 영남, 호남을 잇는 '배터리 삼각벨트'를 조성하고 전력 등 인프라를 지원하겠다는 겁니다.
또 이 후보는 현대건설의 컨소시엄 탈퇴로 사실상 올스톱된 가덕도 신공항 사업에 대해 "민주당이 시작한 사업을 민주당이 책임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 후보는 오늘(31일) 라디오에 출연해 추경에 대한 의지도 재확인했습니다.
전 국민 민생지원금 사업에 대해선 내수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이라며 "재정 상황을 봐가며 규모나 방식, 대상을 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충북 청주시 유세 현장에서 연합뉴스TV 홍서현입니다.
[ 앵커 ]
이번엔 국민의힘 선거운동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김문수 후보는 오늘 강원 동해안을 따라 집중 유세를 벌이고 있습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수강 기자!
[ 기자 ]
네, 저는 지금 강원 동해시에 나와 있습니다.
김문수 후보는 잠시 뒤 이곳에 도착할 예정인데요.
벌써부터 지지자들이 모여 후보 이름을 연호하며 분위기가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김 후보는 오늘 오전 홍천을 시작으로 속초, 강릉을 거쳐 동해안 지역을 누비고 있습니다.
모두 국민의힘 지지세가 강한 지역들인데, 선거 전 마지막 주말인 만큼 텃밭 다지기에 주력하는 모습입니다.
김 후보는 오늘도 첫 유세 장소에서부터 '아내가 자랑스럽다'고 적힌 티셔츠를 입고 나타났습니다.
자신의 배우자인 설난영 여사의 학력 등을 비하했다가 논란이 일자 사과에 나선 유시민 작가를 겨냥한겁니다.
이어 "김대중 전 대통령은 목포상고 출신이고, 노무현 전 대통령도 부산상고 출신"이라며 학력 차별 없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오만한 엘리트주의", "가짜 진보적 속성", "진보 진영의 선민의식"이라며 유 작가 발언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습니다.
김 후보는 "가족이 화목해야 만사가 잘된다"며 이재명 후보 가족을 겨냥한 공세도 이어갔습니다.
[ 앵커 ]
김 후보는 오늘 포항에서 일정을 마무리하네요?
[기자]
네, 김 후보는 이곳에서 강원도 일정을 마무리한 이후엔 경북으로 넘어갑니다.
오늘 마지막 일정으로는 포항에 마련된 해군 초계기 사고 순직 장병 합동분향소를 찾아 조문할 예정입니다.
내일은 김 후보가 경기도지사 시절 개발을 추진한 수원 광교신도시에서 출발해 수도권 표심을 공략합니다.
또 모레 마지막 유세는 제주도에서 시작해 서울까지 누빈다는 계획입니다.
김 후보는 어제부터 ‘외박 유세’를 내세워 90시간 동안 전국을 도는 강행군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강원 동해시에서 연합뉴스TV 김수강입니다.
[현장연결 홍수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홍서현(hsseo@yna.co.kr)
김수강(kimsooka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