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이번 6·3 대통령선거는 조기 대선으로 치러지면서 유권자들이 공약을 살펴볼 시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했습니다.

ADVERTISEMENT


각 후보들이 내건 공약이 실현될 경우, 차기 대통령의 임기부터 달라질 수 있는데요.

후보별 핵심 공약,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봅니다.

배윤주 기자입니다.

ADVERTISEMENT


[기자]

<배윤주 기자> “이제 곧 제21대 대통령이 새롭게 선출됩니다. 그런데 누가 뽑히느냐에 새 대통령이 책임질 미래가 5년이 될 수도, 3년이 될 수도 있습니다. 후보별로 개헌 공약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먼저 기호 1번 이재명 후보는, 대통령 '4년 연임제'를 내걸었습니다.

임기는 4년으로 줄이고, 중간평가 성격으로 연임 여부를 투표하자는 건데요.

다만 개헌 당시 대통령은 "해당이 없다"고 밝혔다는 점에서, 이 후보가 당선돼 개헌에 성공하더라도 5년 단임제의 마지막 대통령이 됩니다.

또 결선투표제 도입을 통한 민주적 정당성 확보, 대통령 본인과 직계가족 범죄 관련 법안에 대한 거부권 제한 등 개헌안을 공약했습니다.

기호 2번 김문수 후보는, 4년 중임제 개헌안에 더해 차기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겠다고 공약했습니다.

ADVERTISEMENT


이를 통해 2028년부터 4년 주기로 치러지게 될 대선과 총선의 주기를 맞추겠다는 겁니다.

이밖에 대통령 불소추특권 폐지와 야당이 추천하는 특별감찰관 임명 등으로 제왕적 대통령제를 해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동시에 국회의원 정수 10% 감축, 국회의원 특권 폐지, 국민 입법제, 국민소환제 도입 등을 제안했습니다.

주요 후보들의 사법 공약도 엇갈립니다.

'검찰 개혁'에 방점을 찍은 이재명 후보는 수사와 기소를 분리해 검찰은 기소만 전담하는 공소청으로 바꾸고, 중요 범죄를 수사할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하며, 공수처 검사는 증원하자고 했습니다.

반면 김문수 후보는 정치 권력을 악용해 수사나 재판을 방해하면 처벌하는 내용의 '사법방해죄 신설'과, 수사권의 검찰·경찰 이관, 공수처 폐지를 사법 공약으로 발표했습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공수처 폐지와 대통령 산하 국가안보실 폐지 등을 1호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

<배윤주 기자> "후보들은 성장률이 0%대로 꺾인 우리 경제의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며 경제·산업 분야 해법도 제시했는데요. 처방전은 각각 달랐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AI 등 신산업 육성과 K-콘텐츠 강화를 통한 경제강국 만들기를, 김문수 후보는 규제 철폐와 세제 정비를 통한 기업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각각 1호 공약으로 제시했고, 이준석 후보는 해외 이전 국내 기업의 리쇼어링을 통한 경제 활성화를 경제 분야 1순위 과제로 꼽았습니다."

청년층 표심을 잡을 후보들의 공약은 주거와 자립 지원에 집중됐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청년 미래적금 도입 등 자산형성 지원과 청년 맞춤형 공공분양 확대를, 김문수 후보는 결혼과 출산 시 총 9년간 주거비를 지원하는 '3·3·3 청년주택 공급'과 군 가산점제 부활을, 이준석 후보는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에게 저리로 5천만원을 대출해주는 든든출발자금 출시를 약속했습니다.

연합뉴스TV 배윤주입니다.

[영상취재 최성민]

[영상편집 윤현정]

[그래픽 성현아]

#대통령선거 #대선후보 #공약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윤주(boat@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