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차기 정부의 최우선 과제들을 분야별로 짚어봅니다.

ADVERTISEMENT


먼저 정치 분야입니다.

이번 선거로 뽑히는 차기 대통령에겐, 계엄과 탄핵 국면을 거치며 양 극단으로 치달은 우리 사회를 통합해야 한다는 막중한 과제가 주어집니다.

대선후보들이 입을 모아 약속했던 개헌도 협치를 통해 추진해야 하는데요.

ADVERTISEMENT


먼저 정다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대선을 앞두고 후보들이 무엇보다 강조한 건 '통합'입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양극화를 극복하는 타협하고 공존하는 정치를 만드는 것은 대통령의 가장 큰 책무입니다. 그래서 대통령이라고 합니다."

<김문수 / 국민의힘 대선 후보> "제가 만남과 대화를 통해서 좌와 우, 노와 사, 빈부, 남녀, 동서 갈등을 해소하는 통합의 정치를 하겠습니다."

계엄과 탄핵 사태로 인해 치러지는 조기대선 국면에서 진영 간 분열과 대립이 어느 때보다 심각해졌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후보들은 저마다 불평등 해소와 경제 발전, 부정부패 청산, 세대교체 등 다양한 해법을 내세웠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건 정치권 '협치'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ADVERTISEMENT


하지만 선거 기간 후보들이 보여준 네거티브 공방은 정치혐오를 키운 것은 물론, 정치가 왜 개혁 대상인지를 여실히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대다수 후보가 정치개혁 해법으로 공히 약속한 '개헌'을 추진하기 위해서도 협치가 필수입니다.

의결정족수를 채우기 위한 여야 합의, 그리고 큰 틀의 국민적 합의가 선행돼야 하는데, 제왕적 대통령제를 손보자는 데엔 공감대가 있지만, 4년 연임이냐 중임이냐 등 각론을 두고 이견이 있는 만큼 신경전이 이어질 걸로 보입니다.

결국 차기 대통령이 야당과 협의하고 설득하는 정치력을 발휘할 수 있느냐가 관건입니다.

계엄 사태 이후 사회 전반의 혼란을 수습하고 각 진영의 상흔을 보듬을 '통합의 리더십'을, 국민은 요구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정다예입니다.

#비상계엄 #차기정부 #대통령선거 #통합 #협치 #리더십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다예(yey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