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제 21대 대통령 선거 본투표가 시작된지 3시간 반 가량 지나고 있습니다.
전국 각지 투표소마다 유권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먼저 서울 지역 투표소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현장 분위기 들어보겠습니다.
정호진 기자.
[기자]
네. 서울 목5동제1투표소에 나와 있습니다.
지금은 다소 소강 상태이지만, 투표소 입구부터 시작된 줄이 아랫층까지 이어질 만큼 북새통을 이루기도 했는데요.
투표소를 찾은 유권자의 이야기 직접 들어보시죠.
<윤형선 / 서울 양천구> "제 투표가 나라의 국정을 운영하는 데에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오전 9시 기준 서울 본투표율은 8.5%로 투표 시작 3시간 만에 70만 명 넘는 서울시민들이 투표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지역 유권자는 약 828만 명으로 경기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데요.
지난주 진행된 사전투표에는 약 280만 명 넘는 유권자가 참여해 34.28%의 사전투표율을 기록해 전국 평균과 비슷했습니다.
남은 545만여 명의 유권자들이 본투표에서 얼마나 투표소로 나올지 주목됩니다.
저녁 6시까지 진행됐던 사전투표와 달리 오늘 본투표는 저녁 8시까지 진행됩니다.
이번 대선은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보궐선거이기 때문인데요.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했던 반면, 오늘 본투표는 본인의 주민등록지,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투표가 가능합니다.
서울에는 2,260곳의 투표소가 마련됐습니다.
투표소는 각 가정에 배송된 투표안내문이나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표하러 가실 때에는 사전투표 때와 마찬가지로 주민등록증이나 여권, 운전면허증 등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꼭 챙겨야 합니다.
지난 사전투표 당시 기표된 투표용지를 촬영하거나, 이를 SNS에 올린 사례가 적발됐는데요.
만일 인증샷을 찍으려면 촬영은 투표소 밖에서 해주셔야겠습니다.
지금까지 목5동제1투표소에서 연합뉴스TV 정호진입니다.
[앵커]
이번엔 이른바 '보수의 심장'으로 불리는 대구로 가보겠습니다.
지난 사전투표에선 전국 최하위권 투표율을 기록했지만, 대구는 역대 선거에서 본투표율이 높은 지역인데요.
투표소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정지훈 기자.
[기자]
네, 저는 지금 대구 수성구 동중학교에 마련된 투표소에 나와 있습니다.
투표소 입구엔 줄을 선 시민들의 모습이 눈에 띄는데요.
아침 일찍부터 투표에 참여하려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유권자들은 정책에 대한 기대, 국가 미래에 대한 고민을 소감으로 밝혔습니다.
<조준우·조현호·조승우 / 대구 수성구> "우리의 먼 미래를 위해서 투자를 할 수 있는 그런 가치관을 가지고 그렇게 해서 그거를 추구를 하면서 발전을 할 수 있는 그런 대통령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대구는 앞서 진행된 사전투표에서 25.63%의 투표율로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대구는 역대 전국 단위 선거에서 본투표율이 높았는데요.
지난 20대 대선에서도 사전투표율은 낮았지만, 본투표 합산 최종 투표율은 78.7%에 달했습니다.
보수 성향 유권자들이 본투표 참여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대구에서는 모두 661곳의 투표소에서 투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전체 유권자 204만여 명 가운데, 사전투표를 마친 인원을 제외한 약 152만여 명이 오늘 투표에 참여합니다.
오전 9시 현재, 대구의 본투율은 10%를 넘어서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투표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구 지역의 투표율은 가파르게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대선에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전통적인 보수 지역인 대구·경북에서 중도층 공략과 투표 참여 독려에 힘을 쏟았습니다.
정치적 피로감과 갈등 속에서 치러지는만큼 대구 지역 유권자들이 어떤 선택을 할 지 주목됩니다.
소중한 한 표가 향후 5년의 방향을 결정할텐데요.
이번 대선 역시 유권자 한 사람 한 사람의 참여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드는 선택이 되는 만큼 소중한 한 표 꼭 행사하시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대구에서 연합뉴스TV 정지훈입니다.
[앵커]
이번에는 호남으로 가보겠습니다.
광주와 전남은 사전투표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요.
최종 투표율은 얼마가 될지 관심입니다.
광주지역 투표소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김경인 기자.
[기자]
네, 광주 첨단 다목적체육관에 마련된 첨단2동 제10투표소입니다.
투표소에는 유권자들의 발길이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는데요,
함께 투표소를 찾은 가족부터 생애 첫 투표를 한 고등학생, 어르신까지 다양한 계층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습니다.
오늘 광주는 모두 357곳의 투표소에서 투표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투표를 마친 시민의 목소리 들어보겠습니다.
<박준민 / 광주 광산구> "좀 기다렸어요. 좀 빨리 좀 하고 싶어서. 우리나라가 편이 좀 안 갈라졌으면 좋겠고, 또 하나는 이렇게 상식적이고 예측이 가능했으면 좋겠어요."
아침 9시 현재 본투표율은 광주가 6.3%, 전남이 6.6%로 집계됐습니다.
광주와 전남은 사전 투표 열기가 뜨거웠는데요.
전남은 56.5%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광주는 52.12%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았습니다.
광주와 전남 유권자 2명 중 1명 이상은 이미 투표를 한 상황입니다.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지는 선거가 유권자들을 투표장으로 이끌었다는 분석입니다.
오늘 오후 8시까지 진행되는 본투표를 합산한 최종 투표율도 관심인데요.
지난 20대 대선 최종 투표율은 광주가 81.5%, 전남이 81.1%를 기록하며 나란히 1위와 2위를 기록했습니다.
광주지역 단체장들은 어제 기자회견을 열어 투표 참여를 독려했습니다.
민주당은 광주에서 90% 이상 몰표를, 국민의힘은 또다시 두 자릿수 득표율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광주 시민들의 선택이 최종 결과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입니다.
지금까지 광주 첨단2동 제10투표소에서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현장연결 최승아 최문섭 이승안]
#대통령선거 #21대대선 #투표현장 #서울 #대구 #광주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진(hojeans@yna.co.kr)
정지훈(daegurain@yna.co.kr)
김경인(kikim@yna.co.kr)
제 21대 대통령 선거 본투표가 시작된지 3시간 반 가량 지나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전국 각지 투표소마다 유권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먼저 서울 지역 투표소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현장 분위기 들어보겠습니다.
정호진 기자.
ADVERTISEMENT
[기자]
네. 서울 목5동제1투표소에 나와 있습니다.
지금은 다소 소강 상태이지만, 투표소 입구부터 시작된 줄이 아랫층까지 이어질 만큼 북새통을 이루기도 했는데요.
투표소를 찾은 유권자의 이야기 직접 들어보시죠.
<윤형선 / 서울 양천구> "제 투표가 나라의 국정을 운영하는 데에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오전 9시 기준 서울 본투표율은 8.5%로 투표 시작 3시간 만에 70만 명 넘는 서울시민들이 투표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지역 유권자는 약 828만 명으로 경기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데요.
ADVERTISEMENT
지난주 진행된 사전투표에는 약 280만 명 넘는 유권자가 참여해 34.28%의 사전투표율을 기록해 전국 평균과 비슷했습니다.
남은 545만여 명의 유권자들이 본투표에서 얼마나 투표소로 나올지 주목됩니다.
저녁 6시까지 진행됐던 사전투표와 달리 오늘 본투표는 저녁 8시까지 진행됩니다.
이번 대선은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보궐선거이기 때문인데요.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했던 반면, 오늘 본투표는 본인의 주민등록지,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투표가 가능합니다.
서울에는 2,260곳의 투표소가 마련됐습니다.
투표소는 각 가정에 배송된 투표안내문이나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표하러 가실 때에는 사전투표 때와 마찬가지로 주민등록증이나 여권, 운전면허증 등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꼭 챙겨야 합니다.
지난 사전투표 당시 기표된 투표용지를 촬영하거나, 이를 SNS에 올린 사례가 적발됐는데요.
만일 인증샷을 찍으려면 촬영은 투표소 밖에서 해주셔야겠습니다.
지금까지 목5동제1투표소에서 연합뉴스TV 정호진입니다.
[앵커]
이번엔 이른바 '보수의 심장'으로 불리는 대구로 가보겠습니다.
지난 사전투표에선 전국 최하위권 투표율을 기록했지만, 대구는 역대 선거에서 본투표율이 높은 지역인데요.
투표소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정지훈 기자.
[기자]
네, 저는 지금 대구 수성구 동중학교에 마련된 투표소에 나와 있습니다.
투표소 입구엔 줄을 선 시민들의 모습이 눈에 띄는데요.
아침 일찍부터 투표에 참여하려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유권자들은 정책에 대한 기대, 국가 미래에 대한 고민을 소감으로 밝혔습니다.
<조준우·조현호·조승우 / 대구 수성구> "우리의 먼 미래를 위해서 투자를 할 수 있는 그런 가치관을 가지고 그렇게 해서 그거를 추구를 하면서 발전을 할 수 있는 그런 대통령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대구는 앞서 진행된 사전투표에서 25.63%의 투표율로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대구는 역대 전국 단위 선거에서 본투표율이 높았는데요.
지난 20대 대선에서도 사전투표율은 낮았지만, 본투표 합산 최종 투표율은 78.7%에 달했습니다.
보수 성향 유권자들이 본투표 참여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대구에서는 모두 661곳의 투표소에서 투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전체 유권자 204만여 명 가운데, 사전투표를 마친 인원을 제외한 약 152만여 명이 오늘 투표에 참여합니다.
오전 9시 현재, 대구의 본투율은 10%를 넘어서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투표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구 지역의 투표율은 가파르게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대선에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전통적인 보수 지역인 대구·경북에서 중도층 공략과 투표 참여 독려에 힘을 쏟았습니다.
정치적 피로감과 갈등 속에서 치러지는만큼 대구 지역 유권자들이 어떤 선택을 할 지 주목됩니다.
소중한 한 표가 향후 5년의 방향을 결정할텐데요.
이번 대선 역시 유권자 한 사람 한 사람의 참여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드는 선택이 되는 만큼 소중한 한 표 꼭 행사하시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대구에서 연합뉴스TV 정지훈입니다.
[앵커]
이번에는 호남으로 가보겠습니다.
광주와 전남은 사전투표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요.
최종 투표율은 얼마가 될지 관심입니다.
광주지역 투표소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김경인 기자.
[기자]
네, 광주 첨단 다목적체육관에 마련된 첨단2동 제10투표소입니다.
투표소에는 유권자들의 발길이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는데요,
함께 투표소를 찾은 가족부터 생애 첫 투표를 한 고등학생, 어르신까지 다양한 계층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습니다.
오늘 광주는 모두 357곳의 투표소에서 투표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투표를 마친 시민의 목소리 들어보겠습니다.
<박준민 / 광주 광산구> "좀 기다렸어요. 좀 빨리 좀 하고 싶어서. 우리나라가 편이 좀 안 갈라졌으면 좋겠고, 또 하나는 이렇게 상식적이고 예측이 가능했으면 좋겠어요."
아침 9시 현재 본투표율은 광주가 6.3%, 전남이 6.6%로 집계됐습니다.
광주와 전남은 사전 투표 열기가 뜨거웠는데요.
전남은 56.5%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광주는 52.12%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았습니다.
광주와 전남 유권자 2명 중 1명 이상은 이미 투표를 한 상황입니다.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지는 선거가 유권자들을 투표장으로 이끌었다는 분석입니다.
오늘 오후 8시까지 진행되는 본투표를 합산한 최종 투표율도 관심인데요.
지난 20대 대선 최종 투표율은 광주가 81.5%, 전남이 81.1%를 기록하며 나란히 1위와 2위를 기록했습니다.
광주지역 단체장들은 어제 기자회견을 열어 투표 참여를 독려했습니다.
민주당은 광주에서 90% 이상 몰표를, 국민의힘은 또다시 두 자릿수 득표율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광주 시민들의 선택이 최종 결과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입니다.
지금까지 광주 첨단2동 제10투표소에서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현장연결 최승아 최문섭 이승안]
#대통령선거 #21대대선 #투표현장 #서울 #대구 #광주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진(hojeans@yna.co.kr)
정지훈(daegurain@yna.co.kr)
김경인(kik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