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제70회 현충일을 맞아 오늘 추념식이 거행됐습니다.

ADVERTISEMENT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참석했는데요.

추념사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냈는지, 대통령실 출입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봅니다.

이다현 기자!

ADVERTISEMENT


[기자]

네, 대통령실에 나와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6일) 오전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했습니다.

취임 후 처음으로 맞은 국가추념일인 만큼, 이 대통령이 어떤 보훈·안보 메시지를 내놓을지에 이목이 쏠렸습니다.

이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보훈은 희생과 헌신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이자 국가가 마땅히 해야 할 책임과 의무"라면서, "모두를 위한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고 말했는데요.

대선 후보 시절부터 '특별한 희생에 대한 특별한 보상'이라는 원칙을 거듭 강조하며 보훈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국정 철학을 강조해 왔는데, 오늘 추념사에서도 같은 메시지를 낸 겁니다.

이 대통령은 "독립운동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하면 3대가 흥한다는 말은 이제 사라져야 한다"며 "이재명 정부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겠다"고 힘줘 말하기도 했습니다.

ADVERTISEMENT


또한, 국가유공자와 유가족에 대한 예우를 높이고 지원을 더 두텁게 하겠다고 공언했는데요.

구체적으로는 빈틈없는 보훈의료체계를 구축하고, 군 경력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현실화하겠다고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전쟁 걱정 없는 평화로운 나라, 일상이 흔들리지 않는 안전한 나라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거룩한 희생과 헌신에 대한 가장 책임 있는 응답"이라며 튼튼한 안보도 강조했습니다.

오늘 추념식에는 지난달 해군 해상초계기 추락 사고로 순직한 고 박진우 중령과 이태훈 소령, 윤동규 상사와 강신원 상사의 유가족들, 그리고 지난해 12월 서귀포 감귤창고 화재 현장에서 순직한 고 임성철 소방장의 유족들이 참석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추념사를 시작하며 유가족들에게 애도와 위로를 표하고, "우리 국민이 고인의 헌신을 뚜렷이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대통령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다현(ok@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