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조국혁신당이 조국 전 대표의 사면 문제를 공론화했습니다.

ADVERTISEMENT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면서도 '정치 검찰 피해자에 대한 회복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는데요.

민주당 내부에서는 조 전 대표에 대한 사면이 필요하다는 입장과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 교차하고 있습니다.

문승욱 기자입니다.

ADVERTISEMENT


[기자]

정권 교체 직후 조국혁신당에서 조국 전 대표 사면론을 띄우고 나섰습니다.

김선민 당 대표 권한대행은 최근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과의 접견에서 "정치 검찰 피해자에 대한 회복이 필요하다"고 말했는데,

혁신당이 조 전 대표를 '검찰권 남용의 희생자'라고 강조해왔다는 점에서 사실상의 사면 요청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사면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면서도,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앞세워 은근한 기대감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윤재관/조국혁신당 대변인(지난 12일)> "국민주권정부가 출범한 의미를 따진다면 사면이 필요하다는 시민 사회의 의견들도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잖습니까?"

민주당 내에서는 견해가 엇갈립니다.

ADVERTISEMENT


일각에선 과도한 처벌을 받았으니 사면이 필요하다며 조국혁신당에 동조하는 의견이 나왔는데,

<정성호/더불어민주당 의원(지난 12일 SBS '김태현의 정치쇼')> "형벌의 균형성의 측면에서 어쨌든 그런 게 필요하지 않겠나 생각합니다. (사면, 복권이 필요하다?) 네."

정권 초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금은 사면론과 거리를 둬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김영진/더불어민주당 의원(지난 13일 YTN '뉴스 파이팅')> "시기를 어떻게 할 것인가 여러 가지 상황들이 있기 때문에 그것은 지금 저희들이 먼저 얘기하는 것은 좀 너무 많이 나갔다…"

국민의힘에선 "조국 사면 여부가 이재명 정부 공정의 바로미터"라며 미리 견제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정치권 일각에서 제헌절 특사, 광복절 특사 등의 얘기가 나오고 있지만, 대통령실에서는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연합뉴스TV 문승욱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승욱(winnerwook@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