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G7에서 이뤄진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일 관계 훈풍에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이지만 과거사 문제 등은 여전히 '풀리지 않은 매듭'입니다.

ADVERTISEMENT


전문가들은 역사 인식은 단호히 하면서도 불안정한 국제정세를 감안해 외교적 실리도 잃지 말야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ADVERTISEMENT


한일 정상회담 소식이 전해진 지난주 수요일.

이날도 어김없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수요시위'가 열렸습니다.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일관계 훈풍 기대감이 커졌지만 아직 과거사 현안들은 현재진행형입니다.

지금까지 우리 법원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에 대해 일본 정부의 배상 책임을 세 차례 인정했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과 2015년 '위안부 합의' 등으로 문제가 종결됐다며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정부 산하 재단이 민간에서 기부를 받아 배상금에 해당하는 돈을 주는 '제3자 변제안' 논란도 그대로입니다.

우리 법원에서 손해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등은 모두 67명이지만, 후원금 저조로 변제금을 받은 이들은 26명에 그칩니다.

ADVERTISEMENT


전범 기업들의 책임이 희석되는 처사라며 수령을 거부하는 피해자들도 있는 상태입니다.

진정한 '미래지향'을 위해선 과거사 청산이 우선돼야 한다는 시각이 여전히 적지 않지만 전문가들은 국제 패권 경쟁 속 커져가는 양국의 전략적 협력 필요성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역사인식에 있어서 일본에 단호한 입장과 원칙을 알릴 필요는 있지만 과거사 문제 해결은 호흡을 길게 가져가야 한다는 겁니다.

<이원덕 / 국민대 일본학과 교수> "과거사 이슈 하나하나가 단기간에 바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없어요. (과거사 문제를) 관리하면서 오히려 경제·문화·안보에 있어서 협력을 촉진하는 게 우리 국익에도 맞고…"

외교 실용주의를 내걸고 한일 간 거리를 바짝 당긴 새 정부가 반복되는 과거사 갈등 봉합과 협력 관계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영상편집 박상규]

[그래픽 김두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동훈(yigiz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