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 앵커 ]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식품·외식기업의 가격 인상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업계는 원재료값 인상과 인건비 부담 등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데요.

정부와 여당이 물가 대책 논의에 본격 착수한 가운데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올지 주목됩니다. 오주현 기자입니다.

[ 기자 ]

ADVERTISEMENT


비상계엄 사태 이후 새 정부가 출범하기 전까지 집중적으로 가격 인상을 단행한 식품·외식업계.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강조한 최우선 과제도 '물가 안정'이었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지난 9일)> "최근에 물가가 엄청나게 많이 올랐다고…물가 문제는 우리 국민들에게 큰 고통을 주기 때문에 현황하고 가능한 대책이 무엇이 있을지 챙겨서…"

하지만 새 정부 들어서도 가격 인상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치킨류를 판매하는 외식기업을 중심으로 최근 가격 인상이 단행됐고, 다음 달에도 외식기업과 식품기업의 가격 인상이 줄줄이 예고됐습니다.

업계는 원재료값 상승 등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실제로 브라질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한 여파로 닭고기 값이 뛰었고, 기후 변화 영향으로 커피와 코코아 등 가격도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계란값 상승세도 이어지고 있는데, 대형마트들은 계란 한 판 가격이 8천 원을 넘지 않도록 인상을 누르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여당은 물가대책 태스크포스를 출범시키며 물가 대응 논의에 본격 착수했습니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라면 한 봉지, 김밥 한 줄조차도 이제는 가격표를 살피며 사야 할 정도로 체감 물가가 버겁습니다.

과감한 재정 투입과 유통구조 개선, 공급망 혁신 등을 통해서 가계부담을 덜고 시장 안정을 유도…"

이 대통령 취임 후 네 번째 국무회의에서도 물가와 민생 안정 대책 논의가 이뤄진 가운데,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올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오주현입니다.

[영상취재 신경섭 김성수 최성민 김성훈]

[영상편집 강내윤]

[그래픽 우채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