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서울 집값이 다시 가파르게 오르면서 새 정부의 첫 부동산 대책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신도시 개발은 지양하겠다는 방향성이 제시되면서 정부의 공급 전략이 어떤 방식으로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립니다.

ADVERTISEMENT



김수강 기자입니다.

[ 기자 ]

서울 아파트값이 20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과열 양상이 짙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시장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섣불리 대책을 내놓는 것은 자제하고 있지만 공급 확대 기조엔 분명한 방점을 찍고 있습니다.

특히 국정기획위원회는 '부동산 가격을 잡겠다고 수도권 주위에 신도시를 만드는 대책은 만들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신도시 개발이 실제 공급까지는 장시간이 소요되는데다, 과거 정책들이 시장 안정에 실패한 전례를 의식한 판단으로 보입니다.

이에 기존에 발표된 3기 신도시의 용적률을 높이거나 공원·녹지 면적을 조정해 주택용지를 확대하는 등 도시계획 변경을 통한 공급 확대 방안이 거론됩니다.

<박합수/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 "신도시는 발표 시점부터 입주까지 통상 10년 정도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기존에 발표된 신도시를 체계적으로 조기에 개발을 완료하면 충분히 공급 안정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정비사업의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도심 내 공급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도 추진될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론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규제 지역 추가 지정과 함께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방식의 수요 억제책도 언급됩니다.

<서진형/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 "단기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확대하거나 대출 규제 정책을 펴지 않을까 예상이 됩니다."

정부는 조만간 서울 집값 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한 대책을 포함해 종합적인 부동산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연합뉴스TV 김수강입니다.

#부동상 #집값 #신도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수강(kimsooka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