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오늘(11일) 장 초반 코스피가 3,200선을 넘어서며 연고점을 재차 경신한 후 출렁였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12일 거래일 만에 장중 800선을 넘어섰는데요, 이러한 흐름 어떻게 보세요?
<질문 2> 간밤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우량주 위주로 매수세가 몰리면서 동반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0.4% 올랐고,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각각 0.2%와 0.09% 오르며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브라질에 5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지만, 시장엔 영향을 주지 않는 모습이에요?
<질문 3>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의 강세가 돋보입니다. '엔비디아'는 0.7% 상승하면서 종가 기준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4조 달러 고지에 올라섰습니다. AI 대장주 엔비디아 강세에 국내 반도체주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질문 4>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대부분의 무역 상대국에 15% 또는 20%의 관세를 일괄적으로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시장은 크게 아랑곳하지 않고 있는 분위기인데, 이러한 분위기가 계속 이어질까요?
<질문 5>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해 오는 8월 1일부터 3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통보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 간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는 양상이에요?
<질문 6> 가상화폐 비트코인이 오늘 새벽 11만 6,000달러, 우리 돈 약 1억 6,000만 원에 거래되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5월 첫 11만 달러를 돌파하고, 어제 11만 2,000달러 경신에 이어 하루 만에 또 신기록을 쓴 건데, 이러한 흐름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다음 주 미국 하원이 '크립토 위크'를 개최하며 주요 가상자산 법안 3건을 집중 논의합니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논의하는 건지 내용을 설명해 주세요. 결과에 따라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 같아요?
<질문 8> 주제를 바꿔볼게요. 어제(10일) 기준금리가 연 2.50%로 동결됐습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준금리 동결을 통해 과도한 (금리) 인하 기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택 시장의 과열 심리를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하며 부동산 상황에 대해 여러 우려를 쏟아내기도 했는데, 어떻게 들으셨어요?
<질문 9> 지난해엔 8월 금리를 동결한 뒤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해서 10월에 금리인하를 단행했었습니다. 이 총재는 “이번에는 그렇게 해피엔딩이 금방 올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는데, 어떻게 예상하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영민(kkong@yna.co.kr)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ADVERTISEMENT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오늘(11일) 장 초반 코스피가 3,200선을 넘어서며 연고점을 재차 경신한 후 출렁였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12일 거래일 만에 장중 800선을 넘어섰는데요, 이러한 흐름 어떻게 보세요?
ADVERTISEMENT
<질문 2> 간밤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우량주 위주로 매수세가 몰리면서 동반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0.4% 올랐고,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각각 0.2%와 0.09% 오르며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브라질에 5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지만, 시장엔 영향을 주지 않는 모습이에요?
<질문 3>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의 강세가 돋보입니다. '엔비디아'는 0.7% 상승하면서 종가 기준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4조 달러 고지에 올라섰습니다. AI 대장주 엔비디아 강세에 국내 반도체주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질문 4>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대부분의 무역 상대국에 15% 또는 20%의 관세를 일괄적으로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시장은 크게 아랑곳하지 않고 있는 분위기인데, 이러한 분위기가 계속 이어질까요?
<질문 5>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해 오는 8월 1일부터 3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통보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 간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는 양상이에요?
<질문 6> 가상화폐 비트코인이 오늘 새벽 11만 6,000달러, 우리 돈 약 1억 6,000만 원에 거래되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5월 첫 11만 달러를 돌파하고, 어제 11만 2,000달러 경신에 이어 하루 만에 또 신기록을 쓴 건데, 이러한 흐름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다음 주 미국 하원이 '크립토 위크'를 개최하며 주요 가상자산 법안 3건을 집중 논의합니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논의하는 건지 내용을 설명해 주세요. 결과에 따라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 같아요?
<질문 8> 주제를 바꿔볼게요. 어제(10일) 기준금리가 연 2.50%로 동결됐습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준금리 동결을 통해 과도한 (금리) 인하 기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택 시장의 과열 심리를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하며 부동산 상황에 대해 여러 우려를 쏟아내기도 했는데, 어떻게 들으셨어요?
ADVERTISEMENT
<질문 9> 지난해엔 8월 금리를 동결한 뒤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해서 10월에 금리인하를 단행했었습니다. 이 총재는 “이번에는 그렇게 해피엔딩이 금방 올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는데, 어떻게 예상하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영민(kko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