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의대 증원에 반발해 1년 반 가까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전격 복귀를 선언한 가운데, '학사일정 유연화는 절대 없다'던 교육부의 입장에도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환자·시민단체는 의사 집단행동부터 막을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김태욱 기자입니다.
[기자]
복귀를 선언한 의대생 단체는 "압축이나 날림 없이 제대로 교육받겠다"며 정부에는 복귀를 위한 '학사일정 정상화'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이선우 / 의대협 비상대책위원장 (지난 12일)> "방학이나 아니면 계절학기 수업 등이 있는데, 그러한 시간들을 모두 이용해서 어찌되었건 교육의 질적 하락이나 총량의 감소 없이 교육을 받겠다는 의지를 표명드린 것이고요."
"학사유연화 같은 특혜와는 다른 입장"이라고 주장하며 정부와 대학에 공을 넘겼습니다.
의대생들의 전면 복귀 결정에 그동안 '학사 일정 유연화는 절대 없다'고 선을 그어 온 교육부의 입장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학사 일정 유연화를 "딱 잘라서 한다, 안한다고 말하기 어렵다"며 "종합적인 여건을 살피면서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한 겁니다.
복귀 시기나 방법 등 학교별로 고려해야 할 여건들이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
각 대학들도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는 가운데, 특혜 논란 등을 의식해 개별적인 대책을 세우는 데는 부담을 느끼는 분위기도 감지됩니다.
이런 가운데, 시민단체와 환자단체는 의대생들의 복귀와 관련해 정부가 학사 유연화나 수련시간 단축 등 특혜성 조치를 해서는 안된다며, 의사들의 집단행동을 막을 대책부터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연합뉴스TV 김태욱입니다.
[영상편집 김소희]
[그래픽 최현규]
#의정갈등 #전공의 #환자단체 #의대생 #의대협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태욱(tw@yna.co.kr)
의대 증원에 반발해 1년 반 가까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전격 복귀를 선언한 가운데, '학사일정 유연화는 절대 없다'던 교육부의 입장에도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환자·시민단체는 의사 집단행동부터 막을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김태욱 기자입니다.
[기자]
ADVERTISEMENT
복귀를 선언한 의대생 단체는 "압축이나 날림 없이 제대로 교육받겠다"며 정부에는 복귀를 위한 '학사일정 정상화'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이선우 / 의대협 비상대책위원장 (지난 12일)> "방학이나 아니면 계절학기 수업 등이 있는데, 그러한 시간들을 모두 이용해서 어찌되었건 교육의 질적 하락이나 총량의 감소 없이 교육을 받겠다는 의지를 표명드린 것이고요."
"학사유연화 같은 특혜와는 다른 입장"이라고 주장하며 정부와 대학에 공을 넘겼습니다.
의대생들의 전면 복귀 결정에 그동안 '학사 일정 유연화는 절대 없다'고 선을 그어 온 교육부의 입장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학사 일정 유연화를 "딱 잘라서 한다, 안한다고 말하기 어렵다"며 "종합적인 여건을 살피면서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한 겁니다.
복귀 시기나 방법 등 학교별로 고려해야 할 여건들이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
각 대학들도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는 가운데, 특혜 논란 등을 의식해 개별적인 대책을 세우는 데는 부담을 느끼는 분위기도 감지됩니다.
ADVERTISEMENT
이런 가운데, 시민단체와 환자단체는 의대생들의 복귀와 관련해 정부가 학사 유연화나 수련시간 단축 등 특혜성 조치를 해서는 안된다며, 의사들의 집단행동을 막을 대책부터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연합뉴스TV 김태욱입니다.
[영상편집 김소희]
[그래픽 최현규]
#의정갈등 #전공의 #환자단체 #의대생 #의대협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태욱(tw@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