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권혁중 경제평론가>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미국과의 상호협상 기한이 이제 보름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어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농축산물에 있어 우리가 전략적인 판단을 해야 한다”고 밝혔는데요. 미국이 관세 협상의 무기로 쌀과 소고기 개방을 내밀었을까요?
<질문 1-1>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나라에 관세 서한을 보낼 때 콕 찝어 소고기 수입 월령 제한을 지적했는데요. 한국의 다양한 비관세장벽 중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유독 ‘소고기 시장 개방’에 집착하는 이유가 있나요?
<질문 2>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쌀과 소고기를 내준다면 우리는 무엇을 얻을 수 있는 건가요? 25% 상호관세 비율을 좀 낮추게 되는 건가요?
<질문 2-1> 이미 한미 FTA 체결 당시 미국산 쇠고기와 농산물 등을 개방하면서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한차례 겪은바 있는데요. 벌써부터 농민단체들의 반발이 심한 것 같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반대의 뜻을 분명히 하고 있는데, 정부의 고심이 클 것 같아요?
<질문 3>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 등 주요 무역 대상국에 보낸 ‘관세 서한’이 곧 무역협정을 마무리하는 것이라고 하면서도 향후 협상을 계속 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는데요. 협상 시한을 분명히 밝히면서 협상의 여지를 계속 주는 듯한 발언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3-1>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관세 정책은 방위비 인상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발언을 했는데요. 이 역시도 동맹국들에 대한 방위비 인상을 압박하는 거라 봐야겠죠?
<질문 4> 주미경제공사가 미국과의 협상에 있어 앞으로 남은 2주간 무역을 제한하기보다 무역과 제조업 협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관세 협상을 타결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는데요. 실제로 미국이 25%의 관세를 부과한다면 무역을 제한하는 셈인데, 어떤 방향으로 협상을 이끌어나가야 한다는 의미인가요?
<질문 5> 미 의회의 크립토 위크를 앞두고 비트코인이 거침없는 상승세를 이어갔는데요. 본격적인 크립토 위크가 시작되자 소폭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질문 6> 여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과일이 수박인데요. 요즘 시장에 나가보면 수박 한통에 3만원이 넘었다고 해요? 작년보다 40% 넘게 올랐다는데, 왜 이렇게 수박 가격이 오른 건가요?
<질문 6-1> 폭염에 가격이 오르는 건 수박뿐만이 아닐 겁니다. 가격 상승이 우려되는 농축산물과 관련해 정부의 집중 관리가 필요해 보이는데, 정부가 어떤 대책을 마련하고 있나요?
<질문 7> SK텔레콤이 해킹 사고 이후 가입자의 번호이동 위약금을 한시적으로 면제한 열흘 동안 16만 여명의 고객이 다른 통신사로 빠져나갔고, 경쟁사는 8만명씩 늘었다고 하는데요. 이탈자가 예상보다는 적었다는 분석이 많은데, SK텔레콤이 해킹사고 수습을 위해 어느 정도의 비용이 들어간 건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영민(kkong@yna.co.kr)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ADVERTISEMENT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미국과의 상호협상 기한이 이제 보름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어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농축산물에 있어 우리가 전략적인 판단을 해야 한다”고 밝혔는데요. 미국이 관세 협상의 무기로 쌀과 소고기 개방을 내밀었을까요?
ADVERTISEMENT
<질문 1-1>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나라에 관세 서한을 보낼 때 콕 찝어 소고기 수입 월령 제한을 지적했는데요. 한국의 다양한 비관세장벽 중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유독 ‘소고기 시장 개방’에 집착하는 이유가 있나요?
<질문 2>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쌀과 소고기를 내준다면 우리는 무엇을 얻을 수 있는 건가요? 25% 상호관세 비율을 좀 낮추게 되는 건가요?
<질문 2-1> 이미 한미 FTA 체결 당시 미국산 쇠고기와 농산물 등을 개방하면서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한차례 겪은바 있는데요. 벌써부터 농민단체들의 반발이 심한 것 같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반대의 뜻을 분명히 하고 있는데, 정부의 고심이 클 것 같아요?
<질문 3>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 등 주요 무역 대상국에 보낸 ‘관세 서한’이 곧 무역협정을 마무리하는 것이라고 하면서도 향후 협상을 계속 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는데요. 협상 시한을 분명히 밝히면서 협상의 여지를 계속 주는 듯한 발언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3-1>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관세 정책은 방위비 인상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발언을 했는데요. 이 역시도 동맹국들에 대한 방위비 인상을 압박하는 거라 봐야겠죠?
<질문 4> 주미경제공사가 미국과의 협상에 있어 앞으로 남은 2주간 무역을 제한하기보다 무역과 제조업 협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관세 협상을 타결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는데요. 실제로 미국이 25%의 관세를 부과한다면 무역을 제한하는 셈인데, 어떤 방향으로 협상을 이끌어나가야 한다는 의미인가요?
<질문 5> 미 의회의 크립토 위크를 앞두고 비트코인이 거침없는 상승세를 이어갔는데요. 본격적인 크립토 위크가 시작되자 소폭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DVERTISEMENT
<질문 6> 여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과일이 수박인데요. 요즘 시장에 나가보면 수박 한통에 3만원이 넘었다고 해요? 작년보다 40% 넘게 올랐다는데, 왜 이렇게 수박 가격이 오른 건가요?
<질문 6-1> 폭염에 가격이 오르는 건 수박뿐만이 아닐 겁니다. 가격 상승이 우려되는 농축산물과 관련해 정부의 집중 관리가 필요해 보이는데, 정부가 어떤 대책을 마련하고 있나요?
<질문 7> SK텔레콤이 해킹 사고 이후 가입자의 번호이동 위약금을 한시적으로 면제한 열흘 동안 16만 여명의 고객이 다른 통신사로 빠져나갔고, 경쟁사는 8만명씩 늘었다고 하는데요. 이탈자가 예상보다는 적었다는 분석이 많은데, SK텔레콤이 해킹사고 수습을 위해 어느 정도의 비용이 들어간 건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영민(kko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