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란 사건' 특검이 오늘(15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강제구인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은 침묵을 지키며 조사 거부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한채희 기자.
[기자]
네, 내란 특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을 조사실로 데려오라는 인치 지휘를 서울구치소에 재차 내렸습니다.
특검이 계획한 윤 전 대통령 조사 시간은 오늘 오후 2시인데요. 지금 시간까지 조사에 대한 윤 전 대통령의 반응이 없자 교정 당국에 강제 구인을 다시 한번 촉구한 것입니다.
특검은 오늘 오전에는 어제 인치 지휘를 하지 않은 서울구치소 교정 공무원을 상대로 직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위를 조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조사 자체를 불응하고 있는 것인지, 집행 과정에서 어떤 행위가 있었던 건지 구체적인 내용을 조사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해당 교정 공무원에게 어떤 책임을 물을 건지는 해당 기관에서 판단할 사안이라고 설명하며, 조사 거부는 피의자의 양정 사유이기 때문에 이를 파악하기 위한 참고인 조사 차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구치소 측은 조사를 거부하고 있는 윤 전 대통령이 전직 대통령인 점 등을 고려할 때 강제적 물리력 동원이 어려워 난감하다는 입장을 어제 특검에 알린 바 있습니다.
오늘 구치소 측이 윤 전 대통령을 밖으로 데려오지 못한다면 2차 강제구인도 불발될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
특검은 앞으로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를 계속 시도할지에 대해서는 "소환·출정 요구가 가능한 상황인지에 관한 판단이 필요할 것"이라며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특검은 오후 2시,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에 대한 참고인 조사도 진행할 예정인데요.
김 총장을 상대로 12·3 비상계엄 선포로 인한 국회 피해 상황을 확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순직해병 의혹' 특검 수사 상황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해병 특검은 오늘 오후 2시, 왕윤종 전 국가안보실 경제안보비서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합니다.
어제는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등 당시 국가안보실 회의에 배석했던 인물들을 잇달아 조사하며 이른바 'VIP 격노설'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
내일은 회의 참석자는 아니지만 윤 전 대통령 측근,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을 소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특검은 강 전 실장이 당시 회의 참석자는 아니지만, 회의 당일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과 여러 차례 통화한 사실이 알려졌다며 해병 사망 사건 직후부터 일련의 과정에 대통령실의 개입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임 전 비서관은 윤 전 대통령이 회의에서 격노했다는 사실을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전달한 인물로 의심하는 인물입니다.
특검은 지난 11일 윤 전 대통령 사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아이폰도 대검에 포렌식을 맡겼다고 설명했는데요.
윤 전 대통령 측은 아이폰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았는데, 해병특검은 잠금을 풀지 않은 채 포렌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지 확인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내란 특검이 있는 서울고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현장연결 최승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채희(1ch@yna.co.kr)
'내란 사건' 특검이 오늘(15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강제구인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은 침묵을 지키며 조사 거부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한채희 기자.
[기자]
ADVERTISEMENT
네, 내란 특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을 조사실로 데려오라는 인치 지휘를 서울구치소에 재차 내렸습니다.
특검이 계획한 윤 전 대통령 조사 시간은 오늘 오후 2시인데요. 지금 시간까지 조사에 대한 윤 전 대통령의 반응이 없자 교정 당국에 강제 구인을 다시 한번 촉구한 것입니다.
특검은 오늘 오전에는 어제 인치 지휘를 하지 않은 서울구치소 교정 공무원을 상대로 직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위를 조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조사 자체를 불응하고 있는 것인지, 집행 과정에서 어떤 행위가 있었던 건지 구체적인 내용을 조사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해당 교정 공무원에게 어떤 책임을 물을 건지는 해당 기관에서 판단할 사안이라고 설명하며, 조사 거부는 피의자의 양정 사유이기 때문에 이를 파악하기 위한 참고인 조사 차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구치소 측은 조사를 거부하고 있는 윤 전 대통령이 전직 대통령인 점 등을 고려할 때 강제적 물리력 동원이 어려워 난감하다는 입장을 어제 특검에 알린 바 있습니다.
오늘 구치소 측이 윤 전 대통령을 밖으로 데려오지 못한다면 2차 강제구인도 불발될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
ADVERTISEMENT
특검은 앞으로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를 계속 시도할지에 대해서는 "소환·출정 요구가 가능한 상황인지에 관한 판단이 필요할 것"이라며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특검은 오후 2시,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에 대한 참고인 조사도 진행할 예정인데요.
김 총장을 상대로 12·3 비상계엄 선포로 인한 국회 피해 상황을 확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순직해병 의혹' 특검 수사 상황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해병 특검은 오늘 오후 2시, 왕윤종 전 국가안보실 경제안보비서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합니다.
어제는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등 당시 국가안보실 회의에 배석했던 인물들을 잇달아 조사하며 이른바 'VIP 격노설'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
내일은 회의 참석자는 아니지만 윤 전 대통령 측근,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을 소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특검은 강 전 실장이 당시 회의 참석자는 아니지만, 회의 당일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과 여러 차례 통화한 사실이 알려졌다며 해병 사망 사건 직후부터 일련의 과정에 대통령실의 개입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임 전 비서관은 윤 전 대통령이 회의에서 격노했다는 사실을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전달한 인물로 의심하는 인물입니다.
특검은 지난 11일 윤 전 대통령 사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아이폰도 대검에 포렌식을 맡겼다고 설명했는데요.
윤 전 대통령 측은 아이폰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았는데, 해병특검은 잠금을 풀지 않은 채 포렌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지 확인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내란 특검이 있는 서울고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현장연결 최승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채희(1ch@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