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
<출연: 김대호 경제학 박사>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ADVERTISEMENT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서울 주택 평균 매매가격이 10억원 시대가 열렸다고 합니다. 2008년 12월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최고치라고 하는데, 연초에 비해서도 7천만원이나 오른건데, 현재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ADVERTISEMENT


<질문 1-1> 역시나 서초구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는데요.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전보다도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고 하는데, 이건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질문 2>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이 이렇게 다시 꿈틀거리는 것이 아무래도 7월 3단계 DSR 시행을 앞두고 거래가 증가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은데, 현재 어디가 가장 움직임이 많은가요?

<질문 3> 정부는 집값이 더 오르면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 등을 확대해 추가로 지정하겠다는 방침인데요. 이제 대선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예상대로 아파트 거래가 계속 늘고 가격이 오를까요?

<질문 4> 내수 부진으로 올해 1분기 치킨집을 비롯한 패스트푸드점, 커피숍, 편의점 등이 일제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자영업자 창업의 대표적인 업종들인데요. 코로나 때도 가게수 감소는 없었다고 하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질문 4-1> 반면에 학원이나 뷰티, 스포츠 관련 서비스업, 전문직 사업장 등은 업종의 사업자가 늘었다고 하는데요. 이건 어떻게 해석해 볼 수 있을까요?

<질문 5> 미 행정부가 최근 워싱턴에서 진행된 한미 국장급 관세 기술 협의에서 ‘무역장벽보고서’에서 주장했던 비관세 장벽 문제와 관련해 한국 측에 정식으로 요청했다고 합니다. 무역장벽 보고서는 지난 3월에 낸 연례 보고서인데요. 그동안 이야기해 왔던 소고기 수입제한부터 구글 지도, 약값 등등이 비관세 장벽에 해당되는 거죠?

<질문 5-1> 미국이 이번 협의에서 제기한 비관세 장벽 해소 요구 가운데, 어떤 것이 가장 우선시 될 거라 보세요?

ADVERTISEMENT


<질문 6> 사실상 미국 측이 제기하고 요구한 사항들은 대선 이후 새 정부가 출범한 뒤 후속 협의를 거쳐 차기 정부에서 해결해야 하는데요. 만일 정권이 교체가 된다면 관세 협상 기조도 달라질 수 있을 텐데, 이 부분은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시나요?

<질문 7>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미국 관세로 인해 미국과 한국 기업 모두실적 악화를 우려한다며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거란 전망을 내놓았는데요. 가장 크게 수출액이 줄어들 것을 우려한 분야가 전기‧전자, 자동차 분야입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이 우려하는 것만큼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거라 보세요?

<질문 8> 트럼프 대통령이 내달 1일부터 부과한다던 유럽 관세를 7월9일까지 유예하겠다고 다시 말을 바꿨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말을 바꾸는 것이 한 두 번이 아니다 보니 이 말 역시 또 언제 바뀔지 모르겠는데요. 이번에는 왜 7월9일까지 유예를 선언한 건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영수(kys6252@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