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지수는 지난해 4월(81.0) 대비로는 5.3p 하락했습니다.
이번 결과는 지난 13∼19일 3,07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수치입니다.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많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합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의 4월 경기전망은 전월 대비 1.9p 상승한 82.6이며, 비제조업은 0.6p 상승한 72.7로 나타났습니다.
제조업에서는 음료(86.2→93.6, 7.4p↑), 금속가공제품(76.6→83.8, 7.2p↑)을 중심으로 17개 업종이 상승한 반면, 가구(72.1→64.7, 7.4p↓),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85.3→80.6, 4.7p↓) 등 6개 업종은 하락했습니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65.8→72.5)이 6.7p 상승했고, 서비스업(73.5→72.7)은 0.8p 내렸습니다.
항목별로는 수출이 87.7에서 95.6으로 개선됐고, 영업이익(71.1→73.4), 자금사정(73.3→74.9), 내수판매(74.4→75.8) 모두 상승했습니다.
다만 역계열로 집계되는 고용(95.4→96.2)은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3월 중소기업 경영상 애로요인은 ‘매출(제품판매) 부진’(60.3%) 비중이 가장 높았고, ▲ 인건비 상승(35.6%) ▲ 원자재(원재료) 가격 상승(30.9%) ▲ 업체 간 경쟁심화(28.0%)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올해 2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69.9%로 전월 대비 0.3%p 상승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1.9%p 하락했습니다.
#중소기업 #경기 #전망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