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9일) 발표한 '3월 금융시장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 달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45조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ADVERTISEMENT
이는 전달보다 1조4천억원 증가한 수준입니다.
지난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 여파에 3조2천억원 증가한 지 한 달 만에 증가 폭이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습니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기조 강화 등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2조2천억 원으로 전달(+3.4조원)보다 증가 폭이 줄었습니다.
한은은 지난해 말과 연초의 주택거래 둔화, 신학기 이사 수요 해소 등 영향으로 증가 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전세자금대출은 7천억원 증가해 지난 2월(+1.2조원)보다 증가 폭이 줄었습니다.
ADVERTISEMENT
기타대출은 9천억원 감소해 전달(-0.2조원)보다 감소 폭이 확대됐습니다. 부실채권 매·상각 등 계절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3월 은행의 기업대출(+3.5조원→-2.1조원) 감소 전환했습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대출(+0.4조원→-0.7조원)이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 상환 등으로 운전자금이 줄면서 감소했습니다.
중소기업 대출(+3.1조원→-1.4조원)은 대출수요 둔화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주요 은행들의 신용리스크 관리 강화, 부실채권 매·상각 등으로 감소했습니다.
회사채(+3.0조원→+0.4조원)는 결산, 주총 개회 등 계절요인으로 순발행 규모가 축소됐습니다.
CP와 단기사채(-1.6조원→-3.7조원)는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 상환 등으로 순상환 규모가 확대했습니다.
은행 수신(+24.8조원→+12.3조원)은 증가 폭이 줄었습니다.
정기예금(+16조원→-12.6조원)이 은행의 자금조달 유인 약화, 지자체 재정집행 자금 인출 등으로 상당폭 감소했습니다.
수시입출식예금(+10조원→+31.4조원)은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와 배당금 지급 등을 위한 법인자금 유입 등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자산운용사 수신(+39.3조원→-13.1조원)은 MMF와 채권형 펀드, 주식형 펀드 등을 중심으로 상당 폭 감소 전환했습니다.
#가계대출 #은행 #주담대 #기업대출 #회사체 #예금 #수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강은나래(ra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