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한국 정부가 다음 달 3∼5일(현지시간)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열리는 '에너지 콘퍼런스'에 참석합니다.

대통령 선거 기간과 행사 기간이 맞물려 참석을 고민하던 정부가 한미 관세 협상에 미치는 영향과 미국의 높은 관심을 고려해 참석을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ADVERTISEMENT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오늘(28일) "앵커리지주 측 초청에 따라 이번 에너지 콘퍼런스에 참석하기로 결정했다"며 "다만, 시기적으로 장·차관이 참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실·국장급에서 가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는 다음 달 앵커리지에서 열리는 '제4회 알래스카 지속가능 에너지 회의'(Alaska Sustainable Energy Conference)에 전 세계 에너지 분야 주요 인사들을 초청하면서 일본, 대만을 비롯해 한국 정부에도 초청장을 보낸 바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원전·재생에너지 등 최신 에너지 기술과 함께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ADVERTISEMENT


구체적으로는 인공지능(AI)·데이터센터 산업 확산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 재생에너지·원전 등 최신 에너지 기술, 알래스카의 석유·액화천연가스(LNG)·광물자원 개발 등을 논의합니다.

특히 주정부 주최로 치러지는 이번 행사에 미국 에너지 정책을 담당하는 '투톱'인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과 더그 버검 내무부 장관이 모두 참석하기로 해 연방 정부 역시 관심을 갖고 주시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한국 정부는 그동안 이번 행사 참석 여부를 놓고 고민을 이어왔습니다.

LNG 프로젝트 자체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지만, 행사 일정이 대선일과 겹치는 특수한 상황이어서 참석에 따른 영향을 놓고 고민해 왔습니다.

그러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업성 판단 등을 위해 직접 행사에 참석해 관계자들과 교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440억 달러 규모의 알래스카 LNG 사업은 북극권의 가스전에서 알래스카 남쪽까지 약 1천300㎞의 파이프라인을 건설한 뒤 이곳에서 가스를 액화해 아시아 국가 등으로 수출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계획은 10여년 전 처음 제안됐지만 사업성 등 문제로 추진이 미뤄졌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다시 주목받았습니다.

ADVERTISEMENT


#에너지 #알래스카 #산업통상자원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준하(jju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