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일방적으로 설치한 서해구조물들(서울=연합뉴스) 한중 양국의 200해리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중국이 일방적으로 설치한 구조물 사진을 국민의힘 엄태영 의원이 24일 공개했다.

왼쪽부터 선란1호(2018년), 선란2호(2024년), 관리시설이라며 설치한 석유 시추설비 형태의 구조물(2022년). 2025.4.24 [엄태영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중 양국의 200해리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중국이 일방적으로 설치한 구조물 사진을 국민의힘 엄태영 의원이 24일 공개했다.

ADVERTISEMENT


왼쪽부터 선란1호(2018년), 선란2호(2024년), 관리시설이라며 설치한 석유 시추설비 형태의 구조물(2022년). 2025.4.24 [엄태영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PMZ)인근 공해상에 부표 3기를 추가 설치한 동향이 파악된 가운데, 정부는 우리 측도 주변 해역에 부표를 설치해 운용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오늘(2일) "부표의 군사 정찰 목적 운영 가능성을 포함해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계부처 공조 하에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가 설치한 부표에는 중국 측 구조물에 대한 비례적 대응 차원에서 설치한 부표도 포함된다"고 전했습니다.

ADVERTISEMENT


이 당국자는 이어 "앞으로도 정부는 중국 측 동향을 면밀히 주시해나가면서 비례적 대응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중국은 2018년부터 서해 잠정조치수역(PMZ) 안팎에 '해양 관측'과 '심해 어업 양식' 목적이라고 주장하며 부표와 구조물을 설치해왔습니다.

추가 확인된 부표를 포함해 중국이 설치한 부표는 모두 13기로, 이 중 1개는 서해 잠정조치수역 내부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해구조물 #서해잠정조치수역 #한중관계 #외교부 #해양권익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아(goldmi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