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뉴스워치] 판문점서 손잡은 북미…향후 비핵화 협상 전망은

<출연 : 장철운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ADVERTISEMENT


분단과 대치의 상징이었던 판문점에서 어제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과 북한, 그리고 미국의 정상이 만났죠.

트럼프 대통령은 현직 미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북한 땅을 밟았는데요.

이번 판문점 회동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그야말로 파격 그 자체였습니다.

이제 관심은 앞으로 진행될 북미간 실무회담에 쏠리고 있는데요.

북미는 협상팀을 새로 꾸려서 이르면 이달 중순부터 포괄적 협상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앞으로의 비핵화 협상 전망, 장철운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와 함께 짚어보죠.

ADVERTISEMENT


<질문 1> 어제 분단의 경계선에서 남북미 세 정상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인 역사적인 순간, 어떻게 보셨습니까? 평양을 방문한 현직 미국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이죠? 어제 남북미 DMZ 회동의 가장 큰 의미가 뭐라고 보세요?

<질문 2> 무엇보다 어제 파격적인 만남은 트럼프 대통령의 SNS로 시작됐다고 봐야될 것 같은데요. 외교적으로 이런 경우가 있습니까? 정말 어제 DMZ 회동이 즉흥적으로 이뤄졌다고 보세요?

<질문 3> 어제 북미 두 정상이 자유의 집에서 예상했던 시간보다 긴 1시간 정도 이야기를 나누었죠? 사실상 판문점에서 3차 북미회담이 열린 셈인데요. 어느 정도 깊은 단계의 이야기까지 오갔을까요?

<질문 4> 그런가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군사분계선을 넘어가면서 김정은 위원장을 워싱턴으로 초청했고요. 김정은 위원장 역시 트럼프 대통령을 평양으로 초청했죠? 과연 두 정상의 워싱턴평양을 오가는 역사적 교차 방문이 성사될 수 있을까요?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이 보인 파격 행보를 고려하면 성사될 가능성도 크지 않을까요? 재선을 노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도 평양 방문은 매력적인 카드가 될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떻게 보세요?

<질문 5> 이번 회동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장녀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선임보좌관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이 각각 수행했는데요. 북미 간 역사적인 판문점 회동이 성사되면서 양 정상의 '퍼스트 패밀리' 간 대면도 마침내 성사됐을 지 주목되고 있어요?

<질문 6> 북한 공식매체들도 오늘 판문점 회동 소식을 대서특필했는데요. 특히 문재인 대통령을 포함한 남북미 정상의 사진을 여러 장 공개하기도 했어요? 최근 북한이 문 대통령을 강한 어조로 비난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급격한 태도 변화라는 평가에요?



<질문 7> 이제 관심은 이달 중순부터 돌입하게 될 북미간 비핵화 실무협상인데요. 우선 미국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지휘 아래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실무협상을 책임지는, 지금의 체제를 유지할 예정이죠. 하지만, 북한의 대미 협상 라인업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어요? 어떻게 예상하세요?

<질문 8> 폼페이오 장관이 "우리의 카운터 파트로 외무성을 상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북한의 대미 협상조직이 기존의 통일전선부에서 외무성으로 바뀐 배경은 어떻게 봐야할까요? 어제 북미 단독회동을 봐도 그렇고, 외무성으로 교체된 만큼 폼페이오 장관의 카운터파트는 리용호 외무상으로 교체된 걸로 볼 수 있겠죠?

<질문 9> 북한은 여전히 안전보장과 제재해제 등 상응한 조치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오늘 한미 정상은 제재 해제를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란 입장을 밝혔습니다. '하노이 노딜'을 극복할 명분과 동력은 어떤 방식들로 이어질 수 있을까요?

<질문 10> 문재인 대통령은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미 정상 첫 회동을 마친 뒤 "오늘 만남을 통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큰 고개를 하나 넘었습니다."라고 했는데요. 한반도 비핵화 논의가 다음 단계로 넘어갔다, 이런 평가로 해석할 수 있을까요? 특히 문 대통령은 스스로 조연을 자처했는데요, 문 대통령의 의도는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질문 11> 따라서 향후 비핵화 협상의 촉진자로서 문 대통령의 행보가 어떤 모습을 띄게 될 지에도 관심이 쏠리는데요. 지금 한반도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세요?

<질문 12> 문재인 대통령은 또 이번 회동은 북미 대화가 중심이다, "남북 대화는 다음에 다시 도모할 것"이라고 했는데요. 다음 남북 정상회담은 언제쯤 어떤 절차를 거쳐서 성사가 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