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읽기] 머스크 트위터 인수 발표…테슬라 주가 12%↓
<출연 : 박연미 경제평론가>
전기차업체인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가 거대 소셜미디어인 트위터를 약 55조 원에 인수하기로 했습니다.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고 말해온 만큼 변화에 이목이 집중되는 가운데 트위터 인수 발표 하루 만에 테슬라의 주가가 12% 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인지, 박연미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SNS 기업인 트위터가 세계 최대 부호인 일론 머스크의 품에 안기게 되며 상당한 파장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향후 트위터의 모습을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어떤 변화가 생기게 될까요?
<질문 2>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를 발표 다음 날 테슬라의 주가가 12% 넘게 하락했습니다. 인수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테슬라 주식을 대량 매각할 수 있다는 시선도 있던데 이런 투자자의 우려가 반영된걸까요?
<질문 2-1>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방식과 관련해 미국 내에서는 부유세 도입론이 다시 거론되고 있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질문 3> 지난 밤 사이 미국 뉴욕증시는 큰 폭으로 하락 마감됐습니다. 특히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는 기술주들이 하락을 주도했는데 원인은 무엇인가요? 오늘 코스피 여파는 어땠나요?
<질문 4> 원·달러 환율은 어제에 이어 오름세를 보이며 1,260원 선을 돌파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직후인 2020년 3월 이후 2년 1개월 만의 일인데요. 최근 환율이 급등하는 배경은 뭔가요?
<질문 5> 환율이 오르면 가격경쟁력이 생겨 수출 기업들에겐 호재가 되지만 그렇지 않아도 크게 오른 물가에는 더 큰 악재가 될 가능성이 높지 않나요? 향후 물가에 어떤 변수가 될까요?
<질문 6> 이런 상황 속에서 인도네시아 정부가 자국 내 식용유 파동을 이유로 내일부터 팜유 수출을 금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음식, 화장품, 생활용품 등 많은 곳에서 쓰이는 흔한 재료이다 보니 팜유 대란이 우려되고 있는데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질문 7> 수출 금지 품목이 'RBD 팜올레인'으로 한정돼 최악의 상황은 피할 거라는 전망도 있지만 자영업자 사이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만일 인도네시아 정부의 수출 금지 기간이 길어진다면, 국내 식품 물가에도 영향이 불가피하지 않을까요?
<질문 8> 둔촌 주공 등 공사비를 둘러싼 갈등이 곳곳에서 벌어지는 등 시멘트와 골재, 철근 등 건설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원자재값이 오른만큼 분양가 상승은 물론, 주택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박연미 경제평론가>
ADVERTISEMENT
전기차업체인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가 거대 소셜미디어인 트위터를 약 55조 원에 인수하기로 했습니다.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고 말해온 만큼 변화에 이목이 집중되는 가운데 트위터 인수 발표 하루 만에 테슬라의 주가가 12% 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인지, 박연미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SNS 기업인 트위터가 세계 최대 부호인 일론 머스크의 품에 안기게 되며 상당한 파장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향후 트위터의 모습을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어떤 변화가 생기게 될까요?
<질문 2>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를 발표 다음 날 테슬라의 주가가 12% 넘게 하락했습니다. 인수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테슬라 주식을 대량 매각할 수 있다는 시선도 있던데 이런 투자자의 우려가 반영된걸까요?
ADVERTISEMENT
<질문 2-1>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방식과 관련해 미국 내에서는 부유세 도입론이 다시 거론되고 있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질문 3> 지난 밤 사이 미국 뉴욕증시는 큰 폭으로 하락 마감됐습니다. 특히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는 기술주들이 하락을 주도했는데 원인은 무엇인가요? 오늘 코스피 여파는 어땠나요?
<질문 4> 원·달러 환율은 어제에 이어 오름세를 보이며 1,260원 선을 돌파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직후인 2020년 3월 이후 2년 1개월 만의 일인데요. 최근 환율이 급등하는 배경은 뭔가요?
<질문 5> 환율이 오르면 가격경쟁력이 생겨 수출 기업들에겐 호재가 되지만 그렇지 않아도 크게 오른 물가에는 더 큰 악재가 될 가능성이 높지 않나요? 향후 물가에 어떤 변수가 될까요?
<질문 6> 이런 상황 속에서 인도네시아 정부가 자국 내 식용유 파동을 이유로 내일부터 팜유 수출을 금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음식, 화장품, 생활용품 등 많은 곳에서 쓰이는 흔한 재료이다 보니 팜유 대란이 우려되고 있는데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질문 7> 수출 금지 품목이 'RBD 팜올레인'으로 한정돼 최악의 상황은 피할 거라는 전망도 있지만 자영업자 사이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만일 인도네시아 정부의 수출 금지 기간이 길어진다면, 국내 식품 물가에도 영향이 불가피하지 않을까요?
<질문 8> 둔촌 주공 등 공사비를 둘러싼 갈등이 곳곳에서 벌어지는 등 시멘트와 골재, 철근 등 건설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원자재값이 오른만큼 분양가 상승은 물론, 주택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