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조기대선까지 이제 43일 남았습니다.

ADVERTISEMENT


대선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각당의 레이스는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 먼저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은 지난 주말 충청권·영남권 경선으로 전반전이 끝이 났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이다현 기자, 후반전에 들어간 후보들 움직임 어떻습니까?

[기자]

네,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들은 이번 주말 호남권 경선과 수도권·강원·제주 지역 경선을 치릅니다.

일요일이면 최종 후보가 선출되는데요,

ADVERTISEMENT


경선 후반부에 들어간 세 후보, 저마다 정책 행보를 펼치고 있습니다.

먼저 누적 득표율 89%대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달리고 있는 이재명 후보, 오늘은 금융투자협회를 찾았습니다.

이 후보는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는데, 본선 진출 가능성에 대비해서 중도층 공략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이 후보는 간담회에 앞서 SNS를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끝내 "주가지수 5천 시대를 열겠다"며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과 '집중투표제 활성화', '감사위원 분리 선출' 등의 정책을 제시했습니다.

김경수 후보는 사회·외교·안보·분야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김경수 후보는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중위소득 40%의 최저소득을 보장하는 국민기본생활보장제 도입과 함께 검찰청 폐지, 통일부의 평화ㆍ협력부 전환, 징ㆍ모병 혼용제 개편 등을 약속했습니다.

김동연 후보는 오늘 오후 여성계와 성평등을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출마론에 대한 견제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김민석 수석최고위원은 오늘 오전 삼청동 공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대행을 향해 대선 출마를 할 건지, 협상에 전념할 건지 정하라고 재차 압박했고요.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오전 회의에서 "한덕수 대행은 염치가 있다면 대선 불출마 선언부터 하라"고 했는데요. 발언 직접 들어보시죠.

<박찬대 /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노코멘트로 출마설에 연기를 피우며 미국과의 관세 협상 전면에 나선다는 것 자체가 국민을 농락하는 것입니다. 대선 불출마 선언을 하십시오. 그리고 내란 수사에 성실히 응하길 바랍니다."

박찬대 직무대행은 국민의힘 경선에 대해서도 "비전도 사과도 없다"고 평가하면서 "민주당 후보에 대한 비난만 이어간다"고 지적했습니다.

[앵커]

국민의힘은 오늘부터 이틀 동안 1차 경선을 진행합니다.

8명의 후보자가 곧 4명으로 추려지는데요, 이 소식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오늘부터 국민의힘은 100% 국민 여론조사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후보자 8명 중에서 4명만 가려냅니다.

국민의힘 경선 후보들은 표심 잡기에 분주한 모습인데요.

먼저 김문수 후보는 '전국 5대 광역권 GTX 급행철도망 구축'을 공약으로 내놓았습니다.

안철수·나경원 후보는 각각 대구를 찾았습니다.

각각 회견과 간담회 등을 진행하면서 보수 텃밭인 TK 지역의 표심 공략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당 차원에서는 "국회 세종 시대의 새로운 문을 열겠다"는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오전 지도부 회의에서 "국민의힘은 지난 총선에서 약속한 대로 낡은 정치의 상징이 되어버린 여의도 국회 시대를 끝내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여의도 국회의사당 국민환원추진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했습니다.

<권영세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세종 시대를 여는 국회 이전과 여의도를 국민께 돌려드리는 정치 혁신, 그 길에 국민의힘이 앞장서겠습니다. 이와 함께 세종 대통령 제2 집무실 건립의 속도를 더욱 높이겠습니다."

국민의힘 역시 상대 당인 민주당 경선을 도마 위에 올렸는데요.

이재명 후보가 독주하고 있는 상황을 두고 비판을 내놓은 겁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재명 대표의 100% 찬성 추대라는 모양새를 막기 위해 동원된 어용 비명 후보들만 나왔을 뿐, 진짜 비명은 모두 숙청됐다"면서 "이재명 세력이 행정부까지 장악하게 되면 1인 독재 국가로 달려가는 하이패스"라고 비판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다현(ok@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