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신안산선 광명구간 붕괴 사고 이후 지하공간 안전관리에 대한 불안감이 큰데요.
경기도의회가 도내 전 지역에 대한 대대적인 전수조사와 대응 시스템 구축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서승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1일 경기도 광명시에서 발생한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사고.
지하 터널 공사 현장이 무너지면서 대규모 지반이 함께 내려 앉았고, 고립됐던 50대 근로자는 결국 지하 21m 아래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최근 잇단 땅꺼짐 사고로 불안감이 확산하는 가운데, 지난 한 해 경기도에서 발생한 지하시설물 관련 땅꺼짐 사고는 30건 가까이 발생했습니다.
2008년 이후 감소세를 이어오다 지난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입니다.
땅꺼짐 사고 대부분은 노후 상하수도관 파열과 지하 굴착공사 부실 등이 원인으로 꼽히는 상황.
1980년대부터 조성된 도시가 많고, 분당과 평촌 등 1기 신도시조차 30년이 넘었을 만큼 노후화된 곳이 많은 경기도 특성상 지하공간 전수조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각종 지하철과 광역급행철도, 고속도로 지하화 공사 등도 계속되고 있어 땅꺼짐 위험이 크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이채명 / 경기도의회 의원> "지반 침하 사고는 인구밀집 지역과 대형 지하공사장 주변에 집중되고 있는데요. 사고 원인의 약 40%가 노후 상하수도관 손상 때문입니다."
경기도의회는 도 전역 노후 상하수도관에 대한 전수조사와 실시간 지하 위험 감지 체계 구축을 경기도에 촉구했습니다.
연합뉴스TV 서승택입니다.
영상취재 이태주
그래픽 박주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서승택(taxi226@yna.co.kr)
신안산선 광명구간 붕괴 사고 이후 지하공간 안전관리에 대한 불안감이 큰데요.
ADVERTISEMENT
경기도의회가 도내 전 지역에 대한 대대적인 전수조사와 대응 시스템 구축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서승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1일 경기도 광명시에서 발생한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사고.
지하 터널 공사 현장이 무너지면서 대규모 지반이 함께 내려 앉았고, 고립됐던 50대 근로자는 결국 지하 21m 아래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최근 잇단 땅꺼짐 사고로 불안감이 확산하는 가운데, 지난 한 해 경기도에서 발생한 지하시설물 관련 땅꺼짐 사고는 30건 가까이 발생했습니다.
2008년 이후 감소세를 이어오다 지난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입니다.
ADVERTISEMENT
땅꺼짐 사고 대부분은 노후 상하수도관 파열과 지하 굴착공사 부실 등이 원인으로 꼽히는 상황.
1980년대부터 조성된 도시가 많고, 분당과 평촌 등 1기 신도시조차 30년이 넘었을 만큼 노후화된 곳이 많은 경기도 특성상 지하공간 전수조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각종 지하철과 광역급행철도, 고속도로 지하화 공사 등도 계속되고 있어 땅꺼짐 위험이 크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이채명 / 경기도의회 의원> "지반 침하 사고는 인구밀집 지역과 대형 지하공사장 주변에 집중되고 있는데요. 사고 원인의 약 40%가 노후 상하수도관 손상 때문입니다."
경기도의회는 도 전역 노후 상하수도관에 대한 전수조사와 실시간 지하 위험 감지 체계 구축을 경기도에 촉구했습니다.
연합뉴스TV 서승택입니다.
영상취재 이태주
그래픽 박주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서승택(taxi226@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