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
[경제읽기] 한은, 기준금리 2.75%로 인하…경기 하방압력 완화 될까

<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ADVERTISEMENT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어제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연 3%에서 2.75%로 내렸습니다. 2%대 금리는 2년 4개월 만이었는데 금융통화위원들의 결정은 만장일치였습니다. 환율이 1,430원을 넘나드는 부담에도 금리 인하를 단행한건 그만큼 우리 경제가 위기 상황에 봉착했다고 본걸까요?

<질문 2> 한국은행이 종전 1.9%였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로 크게 낮춰 잡기도 했는데 어떻게 보셨습니까? 2년 연속 1%대 저성장인데, 이창용 총재는 이게 우리의 '실력'이라고 했는데요?

<질문 3> 시장에서는 한은이 2월 금통위 이후 연내 추가로 기준금리를 낮출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이창용 총재 또한 시점은 불확실성이 있지만 1~2회 추가 인하를 시사하기도 했는데 어느 수준까지 낮춰야 한다 보세요?

ADVERTISEMENT


<질문 4>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구리와 구리 제품에 대한 수입이 미국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조사를 지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이었는데 어떤 조항인가요?

<질문 5>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는 관세 부과를 위한 사전 절차로 해석이 나오고 있는데 어떻습니까? 미국의 구리 관세가 도입되면 한국도 영향권에 들어가게 되나요?

<질문 6>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장관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해 방미길에 올랐습니다. 미 행정부와 주요 의원 등을 면담할 예정이라는데 협상 물꼬를 틀 수 있을까요?

<질문 7> 한때 날개를 단 듯했던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낙폭을 확대하면서 9만 달러선도 내줬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9만 달러선 아래로 떨어진 것은 작년 11월 중순 이후 3개월여인데 하방 압력이 높아진 배경은 무엇인가요?

<질문 8>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북한 소행으로 추정되는 역대 최대 규모 해킹 사건이 발생한 것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는데 디지털 자산 플랫폼의 보안에 대한 우려가 종식될 수 있을까요?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