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경제읽기] 미, 상호관세 발표 D-1…'리더십 부재' 한국 대응 비상

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뉴스피드경제읽기

[경제읽기] 미, 상호관세 발표 D-1…'리더십 부재' 한국 대응 비상

2025-04-02 13:50:47

[경제읽기] 미, 상호관세 발표 D-1…'리더십 부재' 한국 대응 비상


<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1> 미국이 한국시간 3일 새벽 상호관세를 발표할 것이라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발표하면 이 관세는 즉각 발효된다는 이야기도 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발표를 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발표를 한다는 것, 어떤 의미라고 봐야 할까요?

<질문2> 일부 현지 언론들은 수입품에 20% 관세를 일괄 부과할 걸로 보도하기도 하고요. 월스트리트저널의 경우, 그간 논의된 내용과 다른 새로운 관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내용도 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관세에 대해 이미 결정이 끝난다고 이야기를 했는데요.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3> 가장 유력한 것이 품목별 20% 안팎이 예상되고 있는데, 수출 중심의 경제체제인 우리나라의 경우, 어떤 품목에 얼마나 관세를 부과할지가 가장 관심인데, 얼마 전 미국 정부가 내놓은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에 비춰봤을 때, 어떤 품목을 예상해 볼 수 있을까요?

<질문3-1> 블룸버그통신이 추산한 나라별 상호관세 세율에서 한국은 16%로 주요 15개국 중에는 가장 낮은 세율로 나타났는데요. 우리나라가 평균 이하의 상호관세 세율이  적용될 거라 보세요?

<질문4> 현대자동차의 경우, 지난 24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향후 4년간 210억 달러(약 31조원)의 투자계획을 밝히면서 미국 현지 생산 규모를 확대하겠다고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섰지만, 결국 관세 부담까지 안게 된 건데요. 상호관세 부과시 현대차의 영업이익이 최대 19%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손해를 보고라도 투자를 무리해서 진행하는게 맞는 건가요?

<질문5> 대(對)미국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에 대한 관세,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이어 상호관세 파고까지 덮치게 되면 국가 리더십이 공백인 상황에서 정부의 선제적인 대응이 이뤄지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데요. 우리 정부가 쓸 수 있는 카드는 뭐가 있을까요?

<질문6>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내일 나토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할 예정인데요. 한미일 장관회담이 예정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분명 상호관세 문제 이야기가 나올 것 같은데, 트럼프 대통령도 상호 관세 발표 이후에 협상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해 왔습니다. 이곳에서 심도 깊은 대화가 좀 이루어질 수 있을까요?

<질문7> 트럼프 정부가 모든 나라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각국이 보복관세로 맞설 경우 전 세계 경제에 1조 4천억 달러, 우리 돈으로 2천조 원 규모의 타격이 가핼 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는데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시작이 되면, 세계 경제는 지금과 어떻게 달라질 거라 전망하시나요?

<질문8> 화제를 바꿔 우리나라 경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통계청이 3월 소비자물가 동향 지표를 발표했는데요. 석 달 연속으로 2%대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질문9> 최근 영남권에서 발생한 산불로 농산물에 대한 피해도 클 것 같은데요. 이번 대형 산불의 피해로 향후 물가 등락에 어느 정도 영향이 있을 거라 보세요?

<질문10> 1인당 가계대출이 평균 9,600만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12년 이후 역대 최고치라고 합니다. 그나마 다행인 건 가계대출 증가폭은 전월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급감했다고 하는데,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심은진(tinian@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