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산청·하동 주불 진화…잔불 정리 작업 돌입"
"산청·하동 산불 오후 1시부로 모든 주불 진화"
"지난 21일 산불 발생 이후 총 213시간 걸려"
"산청 1,158ha, 하동 700ha 등 산불영향"
"지난 23일부로 산림청장, 경북 산불 현장 지휘"
"산청 산불은 경남도지사가 합동 지휘 맡아"
"산림청장, 경북산불 진화 이후 다시 경남산불 지휘"
"발화지 지리산 자락에 위치…강한 바람에 어려움"
"산청 산불, 두꺼운 활엽수 낙엽층에 진화 난항"
"산불 현장 해발 900m…임도없어 접근 어려워"
"오늘 50대 진화헬기 동원…유관기관 적극 지원"
"소방당국, 주거지역 피해 방어선 구축 적극 협조"
"경찰, 주민 안전 위해 도로 통제, 주민대피 협조"
"국방부 공중 진화 헬기, 지상 작업 인력 지원"
"산불진화를 위해 미군도 헬기 4대 지원해 도움"
"진화 헬기 조종사, 공중진화대, 특수진화대에 감사"
"주불 진화 완료…지자체 중신 잔불진화 체제로 변환"
"잔불진화 위해 헬기 총 40대 활용 지원 예정"
"5월 중순까지 봄철 산불대책기간으로 정해 대응"
"산청 산불 10일만에 주불 진화…난해한 산불"
"산불 발생지역이 산악지대여서 더욱 어려움 커"
"도민들의 힘으로 지리산 국립공원 지켜 다행"
"진화 과정서 순직한 공무원, 진화대원 등 명복 빌어"
"산불 발생 3시간만에 3단계 대응 필요할 정도로 확산"
"산림 피해면적 2천ha, 주택 등 84곳 불타는 피해"
"많은 기관과 인력의 헌신적 노력으로 주불 진화 성공"
"경남 도비로 긴급재난지원금, 1인당 30만원 지원"
"유가족에 대해서는 행정 및 장례 절차 지원"
"근로복지공단 등 관련 법령에 따른 신속 보상 지원"
"순직 인정받을 수 있도록 공무원연금공단과도 협의"
"부상자에 대해서는 빠른 시일 내에 생계구호 지원"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난방비 등을 지원할 계획"
"지원기준에 충족하지 못하더라도 심의위 통해 적극 지원"
"많은 기관, 국민들이 많은 성금 보내주셔…지원 활용"
"이재민에 대한 의료지원, 환자 모니터링도 지속 실시"
"산불로 인한 정신적 어려움 호소 주민께 심리 지원"
"대피소 활용중인 선비문화연구원서 6개월간 거처 가능"
"필요한 경우 조립식 임시 주택도 지원할 방침"
"장기적 주거지원 등 2차 보전은 중앙정부와 협의"
"피해 소상공인에게 경영안정자금 100억 원 지원"
"지역사랑상품권 469억 원 추가 발행해 지원 예정"
"농어촌 지원 기금 활용해 농가 1% 저리 융자 지원"
"2차 피해 예방위해 긴급 벌채 후 복구계획 수립 예정"
"민간헬기 이착륙시 정부 허가 받아야하는 절차 개선 필요"
"산불방지센터 강원에 두 곳 뿐…남부권에도 설치 필요"
"산림청 특수진화대, 지자체 광역진화대 장비·시설 지원 절실"
"이번 산불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야간진화 불가능한 점"
"야간진화 장비 보강없이는 앞으로 산불진화 어려워"
"마지막으로 많은 자원봉사자 등에도 머리숙여 감사"
"경남도와 산청군 등 지자체 합동 잔불정리에 최선다할 것"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동욱(DK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