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민연금 모수개혁 합의에 3040 의원들을 중심으로 공개 반발이 터져나왔습니다.
여야는 청년세대의 목소리를 담겠다며 진화에 나섰는데요.
세대 간의 균형은 물론 연금 안정성 확보를 위한 '구조개혁'이란 큰 산이 남아있습니다.
조한대 기자입니다.
[기자]
<우원식/국회의장> "난제 중의 난제인 정말 연금개혁에 큰 진전을 이뤘습니다."
18년 만에 연금개혁안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반대 여론이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3040 의원들이 집단 반발에 나섰는데, '돈을 더 내야' 하는 청년들을 설득할 만한 최소한의 노력도 담기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재섭/국민의힘 의원> "가뜩이나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이 큰 상황에서 이번 결정으로 세대간 불균형은 더 커지게 됐습니다."
앞으로 구성될 국회 연금특위에 청년들의 목소리가 반영돼야 한다는 게 이들의 요구입니다.
<이소영/더불어민주당 의원> "청년 세대 의원들을 절반 이상 참여하게 해달라. 청년들의 의견을 수립, 담아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달라…"
연금개혁안에 반대표를 던진 의원들에 이어, 잠재적 여권 대선주자들마저 비판에 가세하자, 여야 지도부도 진화에 나섰습니다.
<박찬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연금특위에서) 청년들의 의견도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 이렇게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여야 모두 당 연금특위를 구성했는데, 특히 여당은 위원 6명 중 절반을 30대로 배치했습니다.
<박형수/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 "젊은 세대들의 의견을 연금특위에 합리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그런 협조를 (민주당에) 꼭 부탁드립니다."
이제 여야가 풀어야 할 난제는 연금 '구조개혁'.
중에서도 인구·경제 환경 변화에 따라 연금 지급액과 수급 연령 등이 바뀌는 '자동조정장치' 도입 여부가 핵심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여당은 '재정 안정'을 위해 이러한 장치가 필수적이라는 입장이지만, 야당은 '연금삭감장치'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초·퇴직·직역·개인 연금 등 다른 연금들과의 연계를 꾀하는 방안도 쉽지 않은 과제입니다.
특히 국민연금과 공무원·사학·군인연금 같은 직역연금의 통합은 가입자들의 거센 반발이 예측됩니다.
연금소득세를 국민연금에 자동 투입하는 방식도 청년 의원들이 제안한 상황.
노후소득 보장과 기금 안정화 그리고 세대 갈등 최소화라는 과제를 껴안은 여야가 정쟁이 아닌 심도 깊은 논의로 해답을 찾아낼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조한대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조한대(onepunc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