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지이슈] 명품업계 '큰손' 대한민국…10대까지 내려온 명품 소비
<출연 :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
과거 '명품'은 주로 중장년층에게 한정적으로 소비되는 상품이었는데요.
명품이 대중화되고 수요가 늘면서 유명 브랜드 명품을 처음 접하는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디지털 세대인 만큼 브랜드를 접하는 연령도 낮아진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을 보이는데요.
자세한 내용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와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1> 먼저, 지난 해 기준 한국인이 명품을 구입하는데 쓰는 비용이 연간 약 40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미국인이나 중국인 1인당 명품 소비 비용보다 높은 수준인데요. 한국인들이 명품을 사는데 많은 지출을 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2> 코로나19 대유행과 불경기에도 보석이나, 시계, 가방 등 고가 사치품 소비는 최근 3년 새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명품 수요가 지속되는 이유는 뭘까요?
<질문 3> '명품 소비 관련 인식'에 대한 여론조사를 보면서 말씀 나눠 보겠습니다. 실제로 명품을 처음 접하는 연령대를 묻자 대학생과 20대 사회 초년생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사실 대학생이나 20대 사회 초년생을 명품을 구입하기에 수입이 많지 않은 시기인데요?
<질문 4> 그럼에도 20대가 명품을 처음 접하는 나이대로 가장 많이 조사된 이유는 뭘까요?
<질문 5> 명품을 구매하는 적정 시기가 언제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경제적 소득이 있는 '30대'와 '40대'를 많이 꼽았습니다. 명품에 대한 심리적 장벽은 낮지만 가격을 생각하면, 어느 정도 소득이 필요하다는 인식으로 보입니다?
<질문 6> 그런데 중고등학생 때도 명품을 처음 접했다는 대답이 적지 않았습니다. 구매력이 낮은 10대가 고가의 명품을 사고 소유하려면 부모님의 도움을 받거나 아르바이트하는 경우들일 텐데요.
<질문 7> 이렇게 명품에 관심을 갖고 소비하는 연령이 점점 낮아지는 건 유튜브나 SNS 등 디지털에 익숙한 세대이다 보니 브랜드에 노출되는 시기도 점점 빨라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는데요. 어떻게 보세요?
<질문 8> 여기에다 10대 또는 20대 초반 k-팝 아이돌들이 세계적 인기를 바탕으로 명품업계에 '앰배서더', 우리말로 하면 일종의 홍보대사로 등장하면서 젊은 층의 명품에 대한 관심, 구매욕을 자극하는 측면도 있어 보입니다.
<질문 9> 실제로 세계적인 K-팝 그룹 BTS가 L사 앰배서더가 됐는데요. BTS와 협업을 한다고 밝히자 협업이 시작하기도 전에 품절 대란이 일어났습니다. 명품회사들은 이 앰배서더를 마케팅으로 아주 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요?
<질문 10> 전 세계 팬들이 한국 아이돌을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 한국 상품에 관심을 갖게 한 문화적 영향력을 경제적 가치로 환산할 수는 없을 텐데요. 일각에선 아이돌 팬인 10대가 무리해서 명품을 구매하도록 과소비를 부추긴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
ADVERTISEMENT
과거 '명품'은 주로 중장년층에게 한정적으로 소비되는 상품이었는데요.
명품이 대중화되고 수요가 늘면서 유명 브랜드 명품을 처음 접하는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디지털 세대인 만큼 브랜드를 접하는 연령도 낮아진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을 보이는데요.
자세한 내용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와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1> 먼저, 지난 해 기준 한국인이 명품을 구입하는데 쓰는 비용이 연간 약 40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미국인이나 중국인 1인당 명품 소비 비용보다 높은 수준인데요. 한국인들이 명품을 사는데 많은 지출을 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2> 코로나19 대유행과 불경기에도 보석이나, 시계, 가방 등 고가 사치품 소비는 최근 3년 새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명품 수요가 지속되는 이유는 뭘까요?
ADVERTISEMENT
<질문 3> '명품 소비 관련 인식'에 대한 여론조사를 보면서 말씀 나눠 보겠습니다. 실제로 명품을 처음 접하는 연령대를 묻자 대학생과 20대 사회 초년생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사실 대학생이나 20대 사회 초년생을 명품을 구입하기에 수입이 많지 않은 시기인데요?
<질문 4> 그럼에도 20대가 명품을 처음 접하는 나이대로 가장 많이 조사된 이유는 뭘까요?
<질문 5> 명품을 구매하는 적정 시기가 언제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경제적 소득이 있는 '30대'와 '40대'를 많이 꼽았습니다. 명품에 대한 심리적 장벽은 낮지만 가격을 생각하면, 어느 정도 소득이 필요하다는 인식으로 보입니다?
<질문 6> 그런데 중고등학생 때도 명품을 처음 접했다는 대답이 적지 않았습니다. 구매력이 낮은 10대가 고가의 명품을 사고 소유하려면 부모님의 도움을 받거나 아르바이트하는 경우들일 텐데요.
<질문 7> 이렇게 명품에 관심을 갖고 소비하는 연령이 점점 낮아지는 건 유튜브나 SNS 등 디지털에 익숙한 세대이다 보니 브랜드에 노출되는 시기도 점점 빨라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는데요. 어떻게 보세요?
<질문 8> 여기에다 10대 또는 20대 초반 k-팝 아이돌들이 세계적 인기를 바탕으로 명품업계에 '앰배서더', 우리말로 하면 일종의 홍보대사로 등장하면서 젊은 층의 명품에 대한 관심, 구매욕을 자극하는 측면도 있어 보입니다.
<질문 9> 실제로 세계적인 K-팝 그룹 BTS가 L사 앰배서더가 됐는데요. BTS와 협업을 한다고 밝히자 협업이 시작하기도 전에 품절 대란이 일어났습니다. 명품회사들은 이 앰배서더를 마케팅으로 아주 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요?
<질문 10> 전 세계 팬들이 한국 아이돌을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 한국 상품에 관심을 갖게 한 문화적 영향력을 경제적 가치로 환산할 수는 없을 텐데요. 일각에선 아이돌 팬인 10대가 무리해서 명품을 구매하도록 과소비를 부추긴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