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5대 그룹의 매출이 국내총생산(GDP)의 40%를 차지하는 등 대기업 집단의 매출이 우리나라 경제 규모의 80%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6일) 관가 등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이하 대기업·자산 5조원 이상) 92곳의 지난해 매출은 2,007조7천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ADVERTISEMENT


이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명목 GDP(2,549조1천억원)의 78.8%에 달하는 수준입니다.

이 가운데 '상위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자산 11조6천억원 이상) 46곳이 올린 매출액은 1,833조1천억원으로 GDP 대비 71.9% 규모입니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은 대기업 중에서도 자산 기준으로 상위 50%이고 매출은 91.3%를 차지했습니다.

즉 대기업에서도 상위 업체들의 집중도가 압도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업 매출은 해외 발생분도 포함하기 때문에 GDP 범주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특정 기간의 산출량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고려하면 우리 경제의 대기업 편중 정도를 가늠하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의 지난해 매출액은 공정위 기준으로 331조8천억원입니다.

ADVERTISEMENT


삼성그룹 한 곳의 매출이 우리나라 GDP의 13.0%에 달한다는 뜻입니다.

다음은 현대자동차그룹(279조8천억원·11.0%), SK(205조9천억원·8.1%) 순이었습니다.

특히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상위 5대 그룹의 매출액은 1,025조원으로 지난해 한국 경제 생산의 약 40%에 달했습니다.

GDP 대비 대기업집단 매출액 비중은 2018년 70.9%에서 2019년 68.7%, 2020년 65.3%로 점차 떨어졌으나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며 위기 대응력이 높은 대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뛰자 이 비율은 다시 2022년 기준 85.2%까지 상승한 바 있습니다.

#대기업 #gdp #삼성 #SK #현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