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SK텔레콤이 오늘(12일)부터 유심보호서비스를 해외 로밍 환경에서도 제공하는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ADVERTISEMENT


유심보호 서비스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해외 사용 문제를 해결한 셈인데 유심 교체 수요가 줄어들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이경태 기자입니다.

[기자]

SK텔레콤이 출시한 유심보호서비스 2.0입니다.

그동안 해외 로밍 때는 유심보호서비스 사용이 제한됐는데 이제 이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접속 위치나 단말의 특이성을 분석해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유심보호 서비스는 본인이 사용해도 해외에서 사용할 경우엔 부정 사용으로 인식해 이용이 어려웠는데 이를 해결한 겁니다.

ADVERTISEMENT


기존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 2천400만명은 자동 전환되며 미가입 고객은 14일까지 순차적으로 자동 가입됩니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유심 교체 없이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유심 재설정' 기능도 도입했습니다.

기존 유심 내 인증 정보 일부만 네트워크상에서 바꾸는 방식으로 유심 교체와 동일한 보안 효과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유심 교체 수요가 많아 수급 부족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습니다.

<임봉호 SKT MNO 사업부장 > "그 안에서 (교체 대신) 재설정을 선택하는 부분이 얼마나 많을지는 저희도 가늠하기가 어려운 거 같습니다."

결국 유심보호서비스와 재설정 기능이 시장에서 신뢰를 받아야 유심 교체 대기 수요가 줄어들 전망입니다.

이들 서비스의 성공적 안착 여부는 SK텔레콤의 천문학적 경영 부담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유심 무상 교체 비용만 대략 1,770억원이 추산되는 상황에서 해킹 발생 후 적절한 사후 처리는 과징금 산정에 중요한 고려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번호이동시 위약금 면제 여부는 민관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6월 말 이후에나 결론날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이경태입니다.

[영상편집 정애경]

[그래픽 서영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경태(ktcap@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