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
[경제읽기] '트럼프 관세' 오락가락…홈플러스 사태 일파만파

<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ADVERTISEMENT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면서 제품을 납품하는 협력업체들이 눈치 보기를 하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납품업체들 사이에서 지난해 발생한 티몬·위메프의 대규모 미정산 사태처럼 대금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는데 실제 상황은 어떻습니까?

<질문 2> 이번 사태를 거치면서 국민연금이 홈플러스 투자로 1조원 넘는 대규모 손실 위험에 놓일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기업 어음 등에 투자한 개인 투자자의 손실도 불가피하다보니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에 대한 책임론도 확산하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캐나다에 대해 부과하기로 한 관세의 상당 부분을 오는 4월 2일까지 유예하기로 했는데 갑자기 입장을 바꾼 배경은 무엇인가요? 자국에 미칠 영향을 고려한 걸까요?

ADVERTISEMENT


<질문 4> 반면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는 수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는데 의도가 뭐라고 보십니까? 그간 대미 철강 수출량을 제한하는 쿼터를 받아들인 대신 25% 관세를 면제받은 우리 기업에 미칠 여파는 어느정도 일까요?

<질문 5> IMF도 트럼프 2기 정부의 경제 정책과 관련해 해당 관세가 지속될 경우 캐나다와 멕시코 경제에 상당한 타격이 될거라고 처음 언급했습니다. 어떤 부정적 영향을 가장 우려했나요?

<질문 6> 그래서일까요? 일부 관세 유예 소식에도 뉴욕 증시의 3대 주가 지수가 급락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활실성이 지속될거란 불안감에 투심이 악화된 걸까요?

<질문 7> 마지막으로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이 국내 주식부자 1위 자리에 올랐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위 자리를 내준 게 4년 만이라던데 어떻게 가능했나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영수(kys6252@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